6자 회담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지정학적 리스크 감소에 따라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회담 결과 여부에 상관 없이 단기간에 신용등급 상향 조정이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는 게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실제 국제신용평가사인 S&P 데이비드 비어스 정부평가그룹 대표는 지난 6일 “향후 2년 동안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의) 등급 변동 가능성이 없다”고 밝힌 바 있다. S&P는 현재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은 ‘A’, 전망은 ‘안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 같은 평가 이면에는 S&P의 경우 북한이 핵 보유국이 된 상황에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줄었다고 볼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다. 특히 이 기관은 북한의 붕괴 또는 긴장관계 완화 모두를 ‘잠재적 통일비용 유발요소’로 바라보고 있다. 존 체임버스 S&P 정부신용평가그룹 부대표는 “북한이 만약 붕괴된다면 우발적으로 흡수 통일해야 하는 한국이 부담하게 될 비용은 예측할 수 없다”며 한국의 재정 부담 가능성에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다. S&P와 더불어 양대 평가기관 중 하나인 무디스는 9일부터 14일까지 정부와 연례협의를 가질 예정이다. 무디스는 첫 방문지로 개성공단을 찾아 북한 리스크 등을 직접 확인할 계획이다. 일부에서는 무디스가 S&P와 달리 6자 회담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신용등급을 올릴 가능성도 적지않은 것으로 보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장담할 수 없다. 임영록 재정경제부 차관보는 “무디스 방문은 매년 1회 실시하는 정례협의”라며 “현 단계에서 등급 상향 여부를 예단하기는 어렵다고”고 말했다. 또 무디스의 신용등급이 한 단계 올라가더라도 큰 의미가 없다는 지적이다. 무디스는 현재 한국의 신용등급을 ‘A3’로 매기고 있는데 이는 다른 신용평가사인 S&P나 피치보다 각각 한 단계와 두 단계 낮은 수준이다. 2005년에 S&P와 피치는 신용등급을 한 단계 올렸지만 무디스는 2002년 3월28일 이후 현재까지 이 등급을 유지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