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이 이처럼 강도 높게 지주회사들에 저축은행 인수를 촉구하면서 지주회사 내 은행과 저축은행 간 연계영업까지 허용하는 당근책을 제시하고 나섰다. 이에 따라 지주회사들의 저축은행 추가 인수작업에 속도가 붙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지난주 KBㆍ우리ㆍ신한ㆍ하나 등 4대 금융지주 임원들을 소집해 최근 영업 정지된 솔로몬과 한국ㆍ미래ㆍ한주저축은행 인수를 종용했다.
금융위는 이 자리에서 "먼저 저축은행 인수의향을 밝히는 금융지주에 선택권을 주겠다"며 금융지주사들을 압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5월 저축은행 추가 구조조정으로 퇴출된 4개 저축은행의 경우 자산규모가 5,000억원 안팎에서 1조3,400억여원에 달하는 대형사들이라 당초부터 매각이 순탄치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특히 4대 금융지주는 지난해 1ㆍ2차 구조조정으로 영업 정지된 저축은행을 인수한 상태라 추가 저축은행 인수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이에 금융당국이 먼저 부실 저축은행 인수에 나서는 금융지주에 비교적 덩치가 작은 저축은행을 최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당근'을 주겠다고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지난주 소집은 사실상 권고가 아니라 퇴출 저축은행을 인수하라는 통보에 가까웠다"며 "더 이상 저축은행 인수불가를 고집할 경우 금융당국에 미운털이 박힐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고 귀띔했다.
실제 지난주 금융위 소집 이후 KB를 제외한 우리ㆍ신한ㆍ하나금융지주는 저축은행 추가 인수를 내부적으로 진지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금융지주들은 여전히 금융당국의 저축은행 인수 압박에 대해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금융계의 한 고위임원은 "이미 인수한 저축은행들도 추가 부실이 발생한데다 손실보전을 놓고 당국과 질긴 줄다리기를 벌였다"며 "하지만 경제적 논리만으로 선택하기 힘든 것이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