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는 신동빈 회장의 '원 리더(One leader)' 체제 출범에 따른 '후속 개편'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사업·조직 개편의 방향은 그룹 차원의 수익성 제고다. 롯데쇼핑의 지난 2·4분기 영업이익률이 2%대에 머무는 등 기존 유통·제과 사업의 수익률은 상당히 저조한 편이다.
업계에서는 신 회장의 '관심 사업'으로 금융·렌털 등 선진국형 사업을 꼽는다. 반면 건설 등 전통 사업에는 관심이 낮다고 알려져 있다.
신 회장이 그동안 수차례 인수합병(M&A)을 단행하며 그룹의 덩치를 키워왔지만 앞으로는 가지를 쳐낼 가능성도 점쳐진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은 자신이 평생을 지켜온 사업에 애착이 깊은 반면 신 회장은 기업의 성장과 사업 수익성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강하다"고 전했다.
한화는 지난해 삼성과의 '빅딜'로 재계의 이목을 끈 데 이어 올해부터 본격화될 석유화학업계 구조조정의 중심에 설 것으로 점쳐진다. 한화는 한화종합화학·한화토탈 등을 인수하면서 석유화학 매출이 20조원에 육박하는 규모를 확보한 만큼 업계 지형도의 재편에 가장 큰 역할을 도맡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은 올 들어 독일 하이코스틱스, 호주 LDE 등을 인수한 것처럼 앞으로 소규모 M&A를 통해 석유화학·태양광 등 신성장 사업에 필요한 기술력과 인력 확보에 주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밖에 한화생명을 필두로 해외 금융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기 위해 해외에서 M&A를 단행할 가능성도 유력하다.
두산그룹은 지난해부터 진행된 구조조정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두산은 두산중공업·두산인프라코어 등의 희망퇴직을 잇따라 실시해왔고 직원들의 긴장감도 높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 두산타워의 면세점 유치 계획을 발표하는 등 사업재편의 가능성도 조심스레 엿보인다. 두산그룹은 지난해 KFC 매각을 끝으로 소비재 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뗀 바 있다. '중후장대형 산업'에 집중하기로 했던 경영방침에 변화가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대목이다.
최악의 시절을 보내고 있는 철강·조선업계서도 몸집을 줄이기 위한 사업개편이 잇따르고 있다. 포스코는 이미 국내 계열사의 50%와 해외 사업 30% 감축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7월 현대하이스코를 합병한 현대제철과 최근 포항 후판사업을 정리한 동국제강도 사업 최적화를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업계는 해양 플랜트에서 대규모 적자를 기록한 뒤 비핵심 자산과 계열사 매각 작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또 대형 조선소와 중소형 조선사 간 위탁경영이나 합병 등 산업 구조개편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