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철길 SK이노베이션 사장은 28일 서울 종로구 SK이노베이션 본사 사옥에서 취임 후 첫 기자간담회를 열고, 위 내용을 골자로 한 위기극복 및 신성장 추진 전략을 밝혔다. 정 사장은 이날 “수익·사업구조 혁신 등을 통해 당면한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만들겠다”면서 “현재 11조원인 기업가치를 2018년까지 30조원대로 키우고 글로벌 톱 30위 에너지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정 사장은 앞서 “최근 석유·화학사업은 ‘구조적 위기’에 처했다”고 진단했다. 중국과 유럽 등 주요 시장의 저성장에 따른 수요 감소, 셰일오일 혁명 및 글로벌 설비 증설에 따른 공급 과잉 등으로 수출형 사업구조를 지닌 국내 석유·화학 업계가 생존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정 사장은 “과거와 다른 방식의 고민과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4+2 프레임을 통한 가치(value) 중심 경영’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수익과 사업 구조의 혁신을 통해 투입비용은 최소화하면서 고객이 경험하는 가치는 극대화하는 것이 골자다. 구체적으로 수익구조와 사업구조, 인적구조, 조직구조, 재무구조, 지배구조 등을 혁신해 차별적인 경쟁력을 갖춰 위기를 뛰어넘겠다고 정 사장은 설명했다.
그는 SK이노베이션이 1분기에 흑자전환한데 이어 2분기에도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과 관련해 “글로벌 공급과잉 등 펀더멘털은 변한게 없는 만큼 실적 호조는 잠깐 왔다가는 ‘알래스카의 여름’ 같은 것일 수 있다”며 낙관론을 경계했다. 상반기 실적 호조의 주요인이었던 정제 마진이 하반기에 악화가 예상되는 만큼 미리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 사장은 “앞으로 다시 도래할 겨울폭풍에 대비해 올해가 마지막 골든타임이라고 생각하고 만반의 준비를 할 예정”이라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생존이 가능한 수익구조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사업구조 혁신과 관련해 정 사장은 글로벌 신성장 모델을 제시했다. 석유개발 부문은 지난해 인수한 미국 오클라호마와 텍사스 소재 셰일광구를 인근 지역으로 확장, 북미 기반의 자원개발 전문회사로 성장한다는 ‘U.S 인사이더(Insider)’ 전략을 수립했다. 이와 관련 SK이노베이션은 유가 하락으로 어려움을 겪는 미국 내 셰일오일 업체의 자산이 매물로 나오면 적극적으로 인수할 계획이다.
화학부문은 중국 최대 국영석유회사인 시노펙과 손잡고 설립한 중한석화처럼 성공적인 합작 모델을 계속 만드는 등 기존 중국 중심 성장전략, ‘차이나 인사이더’ 전략을 강화하기로 했다.
석유사업 부문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 등 주요 산유국과 파트너십을 강화해 안정적 원유 도입 기반을 다지고 주요 석유제품 수입국들과 전략적 제휴를 통해 판로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구체적으로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 아시아 지역 내 석유제품 수입국들에 직접 진출해 안정적으로 장기 수요처를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원유 도입처를 다변화해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이란이나 미국산 컨덴세이트 수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필요할 경우 중국이나 일본 등 동북아 지역 정유회사들은 물론 BP나 쉘 등 글로벌 메이저 업체들과 원유나 석유제품, 판매망 등을 공유하는 얼라이언스 체결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윤활유 부문에서도 지난해 스페인 렙솔사와 협력해 출범한 합작법인을 시작으로 글로벌 파트너들과 추가로 합작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배터리의 경우 중국 베이징자동차와 합작해 세운 전기차 배터리 회사를 활용해 중국 시장을 공략하고 유럽에서도 독일 유명 자동차 회사에 배터리를 납품하는 등 전기차 시장 확대를 꾀할 계획이다.
정 사장은 다만 해외 기업과의 합작이나 큰 투자의 경우 CEO인 자신은 물론 그룹 회장인 최태원 회장의 의사와 판단이 큰 역할을 차지하는 만큼 최 회장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정 사장은 수익·사업구조 혁신과 함께 위기를 헤쳐 나가기 위한 안정적 재무구조 확보에도 전력을 집중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1분기 말 현재 6조8,000억원 수준인 순차입금 규모를 계속 줄여나가고 자회사 상장이나 비핵심 자산 매각과 같은 자산 유동화도 꾸준히 추진하기로 했다. 그는 “당분간 성장 여력을 키운 뒤 투자를 하는 ‘안정 속 성장’ 기조를 이어가겠지만 언제든지 필요할 경우 과감한 선제적 투자를 단행할 것”이라며 “부단한 노력을 통해 현재 국내 25위인 시가총액을 2018년까지 3위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