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 빚은 가구주 연령이 55세를 넘어서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계 빚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은 부동산 가격 상승 때문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의 김현정 차장과 김우영 과장은 16일 ‘가계 부채의 결정요인 분석’ 보고서에서 지난 2000~2007년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해 가계 부채를 분석한 결과 가구당 부채 부담이 55세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가구당 부채 규모는 35세 미만과 비교해 40세 전후(35~44세)가 177만원, 50세 전후(45~54세)가 119만원 많았다. 반면 55세부터 부채 규모가 줄기 시작해 60세 전후(55~64세)의 경우 478만원 적었고 65세 이상은 2,045만원 적었다. 44세까지 빚이 빠르게 늘었다가 이후로 빚이 다소 줄지만 본격적인 부채 조정은 55세부터 시작된다는 것이다. 소득 대비 부채비율(DTI)도 비슷했다. 40세 전후가 35세 미만에 비해 3.59%포인트 높았다. 50세 전후는 -0.85%포인트로 거의 변동이 없고 60세 전후는 -25.01%포인트, 65세 이상은 -80.14%포인트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DTI가 빠르게 하락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가구의 부채가 지방 도시 가구에 비해 569만원 많았고 DTI도 15.25%포인트 높았다. 김 차장은 “55세를 기점으로 부채 규모와 비율이 줄어드는 것은 퇴직 연령에 임박해서도 부채 부담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또 가계 부채가 부동산 가격 상승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김 차장은 “부동산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한 2003년 이후 부동산 가격이 부채보유 확률과 부채 규모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며 “부동산 가격 상승이 가계 부채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