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19일 ‘금융안정보고서’를 통해 “상호저축은행이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출에서 추가부실이 발생하고 가계신용대출의 건전성이 나빠지면 부실 우려가 다시 대두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은에 따르면 2011년 말 현재 99개 저축은행의 총자산은 69조4,000억원으로 전년 말 대비 20%(17조4,000억원) 줄었다. 당기순이익은 상반기 중 부동산 PF대출의 부실이 수면으로 떠오르며 6조원 넘는 대규모 적자를 기록했다.
특히 연체율은 지난해 4ㆍ4분기 30.2%로 2009년 이후 가파르게 높아졌다. 국제결제은행(BIS)자기자본비율은 전년 말 9.04%에서 4.12%로 반토막이 났다. 한은은 “감독 당국의 과감한 업계 재편 유도에도 2012년 중 외형 성장세 위축과 경영상 어려움이 지속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당국의 지시로 부동산 PF 대출채권을 매각하고 추가대출을 자제해 PF 대출규모는 감소했으나 이 대출의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아직도 40%대를 웃돌고 있다. 또 부실가능성이 큰 ‘요주의 여신비율’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계속 상승하고 있다.
최근 급증한 가계대출에서도 손실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11년 말 저축은행의 총 가계대출은 10조6,000억원으로 전년 말보다 24.7% 증가했다. 이는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율 5.7%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다. 부동산 PF가 축소되자 가계에서 새 자금을 공급받은 결과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말 가계대출 연체율은 11.85%로 전년 말 대비 1.89% 포인트 확대됐다.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은 13.49%로 같은 기간에 3% 포인트 가까이 커졌다.
특히 저축은행은 저신용계층(7~10등급) 고객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하므로 경기 회복이 지연돼 이들의 소득 개선이 이뤄지지 않으면 거대한 대출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