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과 대비한 금융부채 비율이 일본의 두 배에 이르는 등 가계부채 수준이 위험수위에 달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고소득층은 부동산 투기 때문에, 저소득층은 생활자금 마련을 위해 부채를 늘리면서 가계의 채무부담 능력이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홍경식 한국은행 정책기획국 과장은 ‘주택금융월보’에 기고한 ‘가계의 금융자산ㆍ부채, 부채부담 능력 및 채무조정’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부담 능력이 중장기적으로 크게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기적인 부채부담 능력을 나타내는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지난 98년 85%를 저점으로 2000년부터 크게 높아져 2004년에는 132%에 달했다.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지난해 9월 말 현재 52.2%로 미국(30.1%)이나 일본(26.3%)보다 높은 상황이다. 홍 과장은 “단기적으로는 가계부채 부담 능력이 양호하지만 최하위 20% 대부분은 이미 부채상환 능력을 상실하는 등 중장기적인 위협이 점차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소득수준 하위 20%의 경우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232%로 나타나 채무부담 능력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홍 과장은 “1분위(소득 하위 20% 계층)의 대부분이 부채상환 능력을 이미 상실했으며 2분위도 이를 상실할 위험이 높다”며 “저소득층의 금융자산이 줄어들고 부채가 늘어나는 것은 소득 양극화에 따른 가계수지 적자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신용상 금융연구원 거시경제팀장도 “실질GNI 증가 없이 가계부채 증가 속도만 빨라졌다”며 올 하반기가 소비회복의 고비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