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소비를 살리자] 있는 사람부터 지갑 열게하라
입력2004-08-05 10:13:43
수정
2004.08.05 10:13:43
기업투자 확대ㆍ일자리 창출 지속적인 노력속 <br>과감한 감세정책으로 부자들 돈쓰게 만들고<br>서비스업도 활성화 해외소비 국내로 돌려야
[소비를 살리자] 있는 사람부터 지갑 열게하라
기업투자 확대ㆍ일자리 창출 지속적인 노력속 과감한 감세정책으로 부자들 돈쓰게 만들고서비스업도 활성화 해외소비 국내로 돌려야
더 싸게…대박 경품…마케팅 전쟁
"소비자를 참여 시켜라"
문화마케팅도 뜨겁다
장수제품 불황기에 빛 발한다
올해로 출시 30돌 1,000억매출 눈앞
용량조절로 알뜰소비자 공략
가격부담 크게 줄여 공급이 수요 못미쳐
웰빙이 '소비의 문' 여는 키워드
올바른 웰빙 소비 방법
이색 웰빙 상품
틈새 공략…'新유통시장' 떠오른다
싼게 비지떡? "고정관념 버려"
"VIP고객을 잡아라"
직원수준 업그레이드 열기
모두가 “소비를 살려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소비가 없으면 경제회생은 커녕 자칫 불황의 늪에서 계속 헤어나지 못할 경우도 가정해야 한다. 그러나 흔히 말하는 소비자 시대에 소비자가 소비할 여력이 없으니 소비자무능시대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물론 청년실업자 양산, 신용불량자 등 구조적인 문제로 이렇다 할 지경에 와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어떻게 든 소비를 살려야 한다는 과제에는 이견이 없는 실정이다.
문제는 소비여력이 있는 사람도 소비를 하지 않고 다른 곳으로 눈을 돌리거나 아니면 소비를 줄이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들이 적자를 감소하더라도 돈의 회전을 위해 눈물의 마케팅을 구사하고 있는 것도 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부자는 부자 나름대로, 월급생활자도 나름대로 소비에 대한 전략이 다르기 때문이다. 실제 쓸 돈이 없는데 어떻게 하느냐고 반문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당연히 소비를 할 수 있는 부자나 샐러리맨들의 지갑을 열어야 한다는 게 정부와 민간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그러면 어느 정도 소비가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하지만 간과하지 말 것은 특히 소비여력이 풍부한 부자들의 두둑한 지갑을 열어줘야 물꼬가 풀린다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소비가 흐르는 것을 어느 정도 감지되지 않겠느냐는 견해가 우세하다.
부자들의 지갑을 열게 하기까지는 정부가 어느 정도 나서줘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부자들이 외국으로 돈의 물줄기를 돌리고 있기 때문이다. 같은 맥락에서 월급생활자의 말라빠진 지갑은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나서 조금이라도 열어줘야 어느 정도 소비흐름이 보일 것으로 이들은 믿고 있다.
그러나 ‘소비 살리기’가 결과적으로 ‘소비 죽이기’가 되지 않게 하려면 우선 소비 살리기란 추상적 목표 자체에 대한 올바른 시각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말해 현 시점에서 소비 살리기는 단기적 경기회복과 일자리 창출이라는 중ㆍ단기적 목표가 선행돼야 한다는 게 경제 전문가들의 한결 같은 지적이다.
현재 많은 가계가 무거운 부채와 신용불량자 문제로 소비를 크게 늘릴 수 없는 형편에 있기 때문이다. 이는 몇 년 전 정부가 단기적 경기회복에 급급한 나머지 민간소비 조장을 위해 애국심까지 들먹이며 각종 시책을 무리하게 추진해 온 결과임을 알 수 있다.
◇소비진작을 위해 정부가 할 일은
민간 소비는 가계의 가처분 소득이 늘어나고 경제가 정상을 회복하면 자연적으로 늘어나게 돼 있다. 때문에 무리하게 소비를 미화할 필요는 없다. 동시에 늘어나는 소비를 과소비 운운하며 죄악시하는 일도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민간 소비는 기업투자가 활성화되고 고용과 가계소득 증진 가능성이 보일 때 정부의 요란한 시책없이도 늘어나게 마련이다.
따라서 정부가 이 시점에서 할 일은 경기회복을 위한 기업투자 활성화에 총력을 모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이다. 최근 이들이 “소비를 살려야 우리 경제가 산다”고 정부 진작책을 촉구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또 내수를 살리는 길은 설비투자밖에 없다. 설비투자를 확대하면 일자리가 창출되는 동시에 소비가 회복, 성장이 지속이 된다는 것이다.
◇기업들은 어떻게 해야 되나
물론 기업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소비자 지갑을 여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실제 기업들은 고전적인 할인 및 경품 마케팅에서부터 리콜제, 무료배송, 9,900원 숍, 체험 마케팅 등 소비를 살리기 위한 눈물겨운 마케팅을 연일 쏟아뺐?있다.
그러나 장기불황으로 인해 痔庫活?떨어진 가운데 기업들의 이 같은 마케팅은 한마디로 ‘눈가리고 아웅’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소비자에게 책임을 부가하는 등 출혈경쟁에 따른 ‘제살깎기’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기업들이 단기처방인 경품 마케팅 등에 의존하기 보다는 상품 경쟁력으로 승부하는 게 불황을 극복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또 트랜드를 겨냥한 맞춤형 복고풍과 리뉴얼 바람으로도 불황의 파고를 넘어야 한다.
특히 화장품과 의류시장에 부는 신유통 바람에 편승하고 이색 웰빙 상품 등을 제대로 개발하면 경기회복의 엔진을 달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간 전문가들이 주장하는 소비촉진책은
돈있는 사람부터 쓰게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부자와 월급생활자 등 소비여력이 있는 사람부터 지갑을 열게하는 게 중요하다고 이들은 이구동성으로 말한다. 실업자들은 소비를 촉진시킬 총알이 없기 때문이다.
특히 부자들의 지갑부터 열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은 실정이다. 이럴 경우 과감한 감세정책 등으로 부자들의 소비여력과 심리를 자극해야 한다. 부유층일수록 상대적으로 감세혜택이 커 부자들의 지갑을 여는 데 감세정책이 효과적일 수도 있다는 논리다.
물론 정부의 재정지출 감소가 전제돼야 한다. 재정지출 감소 없이 감세만 단행하면 재정건전성이 위협받을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 서비스업 활성화 등을 통해 부자들의 해외 소비를 국내로 돌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어 기업의 접대비 지출 제한 등 민간소비를 억제하는 정책은 가급적 지양하고 한시적으로 정부정책이 부양책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획취재팀 : 양정록차장ㆍ신경립ㆍ김희원ㆍ안길수ㆍ김민형기자
입력시간 : 2004-08-05 10:13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