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오늘 ‘청년 고용절벽 해소를 위한 민관합동 회의’를 열고 청년 고용 종합대책을 내놨습니다.
일하고 싶은데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는 청년층이 116만명에 달하는 등 우리나라의 청년 고용 문제가 다른 국가나 국내의 다른 연령층 상황에 비해 심각하기 때문입니다.
새 일자리는 어디서 얼마나 생기는지 정훈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정부와 경제계가 손잡고 오는 2017년까지 총 20만 개 이상의 청년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정년 연장 등 사회 여건의 변화로 청년층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드는 ‘청년 고용절벽’ 문제에 대처하기 위함입니다.
정부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4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추가로 만들고 경제계는 신규채용과 인턴, 직업 훈련 등을 통해 16만개 이상의 새로운 일자리 만들 계획입니다.
정부는 우선 공공부문에서 연평균 5,500명 규모인 교원 명예퇴직을 매년 순차적으로 늘려 2017년까지 총 1만5,000명의 신규 교원 채용 여력을 확보할 방침입니다.
또 공공 부문에서 임금피크제 도입에 따른 재원절약분을 8,000명 규모의 신규 청년 일자리 창출에 활용키로 했습니다.
세제혜택 등을 통한 민간 부문의 청년고용을 확대 방안도 마련했습니다.
기업이 전년보다 청년 정규직을 더 채용하면 세액공제 혜택을 주는 청년고용증대세제를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시 인정하는 세액공제 혜택도 올해 말 종료 예정이었지만 연장하기로 했습니다.
또 세대 간 상생고용 지원제도를 신설해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청년 정규직을 늘린 기업에는 신규 채용 1인당 연간 1,080만원씩 2년 동안 지원합니다.
일자리 경험 확대를 위해 대기업과 공공기관 위주의 청년인턴제를 우량 중소·중견기업으로 확대해 취업연계형으로 발전시켜 나가기로 했습니다.
한편 정부는 청년들의 취업 시기가 늦춰지는 점을 감안해 재정지원 대상인 청년 연령의 범위를 15~29세에서 15∼34세로 넓히기로 했습니다.
기업이 34세의 인력을 고용해도 청년고용과 관련된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또 오는 8월부터 고용노동부와 외교부 등 관련부처와 함께 ‘해외 청년일자리 협의체’를 운영하고, 해외에 취업하는 청년 전문인력을 2017년까지 연간 1만 명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정부는 이번 대책이 원활히 시행되면 15∼29세 청년고용 규모가 2017년 말까지 16만7,000여명 더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정훈규입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