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투신부실 최대 5,000억"

"투신부실 최대 5,000억"이르면 20일 발표되는 투신(운용)사의 100억원이상 펀드안에 들어있는 부실자산 규모가 최대 5,000억원을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일반투자자의 손실은 거의 없게 되는 반면 회사 및 대주주의 부담이 그만큼 커져 앞으로 금융시장이 더욱 경색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특히 이번 부실자산 처리가 「미봉」에 그쳐 투자자들이 과연 신뢰할 지도 미지수다. 19일 투신업게에 따르면 투신사들은 이번주 펀드 부실내역 공개를 앞두고 자산유동화전문회사(SPC)에 추가 매각 등 펀드 클린화 작업을 상당히 진척시켜 실제 공개될 부실규모는 당초 예상(1조원이상)의 절반에도 못미칠 것으로 보인다. ◇문제점은 없나= 가장 큰 문제는 회사 차원은 물론 대주주의 부담이 더욱 커졌다는 데 있다. 펀드 클린화 작업을 통해 대부분의 부실자산을 고유(회사)재산에 이관시키거나 대주주가 장부가로 인수했기 때문에 이들의 부담이 그만큼 증가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영정상화나 흑자경영을 영위하기에는 상당기간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일반 고객들의 피해는 극소화했지만 투신사는 물론 대주주의 부담이 커져 이것이 경영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는 얘기다. 부실위험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언제든지 부실을 향한 「뇌관」이 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대부분의 투신사들이 이번 부실자산 제거를 위해 페이퍼컴퍼니인 SPC사에 매각한 것이 대표적인 사례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 대형사들이 펀드에 편입돼 있는 자산을 자산유동화를 위해 특수목적회사로 설립한 SPC사에 매각한 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부실위험을 완전히 없앤 것이 아니다』며 『이 부분은 언제든지 부실로 다시 드러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또하나 골치거리는 추가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2조3,000억원 규모의 대우 담보CP의 처리다. 정부가 100% 지급을 약속한 대우 담보CP에 대해 80% 수준에서 자산관리공사를 통해 인수키로 함에 따라 발생한 4,600억원 상당의 부실채권을 어떤 형태로 처리하냐에 따라 부실규모가 눈덩이 처럼 불어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판매(증권)사와 이 손실을 8대2의 비율로 분담할 때는 투신의 부담이 줄어들겠지만 증권사들이 강하게 반발할 경우 부실규모가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일반 투자자(고객)들의 손실은 거의 없다= 대부분의 투신사들은 CBO(후순위채) 펀드 발행이나 대주주가 장부가로 펀드를 들어내는 작업 등을 통해 부실펀드의 대부분을 클린화 했다. 투신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투자자산 가운데 법정관리·기업개선작업·화의 ·부도·청산 등으로 지금까지 부실위험이 드러난 기업이 발행한 채권 및 기업어음(CP) 등이 거의 하나도 없을 정도로 깨끗히 처리했다는 뜻이다. 물론 최근 워크아웃에 들어간 새한그룹 채권 등 일부 정리하지 못한 부실자산도 많지만 업계 공동기준에 따른 손실처리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발표 시점에서의 부실펀드 규모는 급격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새한사태 등 예상치 못한 사태로 인해 현재까지 추가상각이 필요한 투신사들의 부실편드 규모는 4,200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실제 공개되는 부실규모는 이 보다 훨씬 적거나 많아도 5,000억원을 넘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와 관련 현대·대한·제일·동양 투신 등은 이미 부실채권 「0(제로)」화를 선언했고, 부실자산 규모가 400억원에 못미치는 한국투신과 새한 관련 부실채권을 1,300억원 가량 보유한 삼성투신운용도 CBO펀드 발행 등을 통해 이 중 대부분을 상각, 제로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서 눈여겨 보아야 할 대목은 일반 투자자들의 손실이 거의 없다는 점이다. 추가상각 부분의 대부분이 대우 담보CP와 관련된 것이고, 이는 금융기관간에 해결할 문제이기 때문에 일반 투자자들에게 돌아가는 손해는 극히 미미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고객이 맡긴 신탁자산으로 운용되는 펀드에 편입됐던 부실채권을 고유재산 이관 등을 통해 모두 없앴기 때문에 실제 고객에게 돌아가는 피해는 거의 없다』면서 『이에 따라 고객들은 이번 부실자산 공개에 전혀 동요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고진갑기자GO@SED.CO.KR 입력시간 2000/06/19 18:51 ◀ 이전화면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