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융합연구단에 연간 최대 100억원의 연구비를 최소 3년에서 최대 6년까지 지원한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8일 개방형 연구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해 출연연과 기업들이 참여하는 융합연구단을 처음 출범했다고 밝혔다. 미래부에 따르면 첫 선을 보인 융합연구단은 2개로 각각 '싱크홀'과 '에너지' 문제 해결에 집중한다.
세부적으로 보면 '사물인터넷(IoT) 기반 도시 지하매설물 모니터링 및 관리시스템' 융합연구단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4개 출연연과 SK텔레콤 등 11개 기업이 참여한다.
연구단은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수집·분석·예측으로 싱크홀 등 지하매설물 붕괴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데 연구 초점을 맞춘다.
또 '에너지 및 화학원료 확보를 위한 대형 융합플랜트 기술개발' 융합연구단은 핵심 기초 화학 원료를 경제·친환경적으로 생산해내는 대단위 공정과정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연구단은 화학연구원이 중심이 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한국기계연구원이 참여한다.
한편 미래부와 과학기술연구회는 2017년까지 융합연구단을 20개 가량 출범해 연구 협력 생태계를 조성하는 한편 출연연의 상시협력을 위해 연구자들로 구성된 협의체인 '융합클러스터(연구교류회)'를 육성하기로 했다.
/윤경환 기자 ykh22@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