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이 지난해 9월 금융위기 이후 내놓은 고금리예금이 10월에 대규모로 만기도래하며 '금리 부메랑'을 맞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지난해 판매한 고금리예금 상환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예금금리를 인상하고 양도성예금증서(CD)ㆍ은행채 등 시장성 수신을 늘림에 따라 대출금리까지 덩달아 상승, 서민들의 이자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지난해 9월 리먼브더러스 파산사태 이후 금융시장이 불안해지자 재원확보 차원에서 연 7%대의 고금리를 제시하며 20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정기예금을 유치했다. 이들 특판상품의 만기는 1년으로 10월에 대부분 만기가 돌아온다. 이에 따라 은행들은 상환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다시 고금리상품 출시경쟁에 돌입했다. 1년 만기 정기예금의 경우 4%대 금리를 선보였으며 저축은행은 5%대 금리를 제시하고 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은행들이 1년 전 고금리상품 판매의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며 "은행들이 '금리 부메랑' 효과를 대출금리 인상으로 연결하면서 서민들의 대출이자 부담이 가중되는 역효과를 낳고 있다"고 말했다. 대출금리 상승은 은행들이 고금리예금 상환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정기예금 금리를 올리는데다 시장성수신인 CD 발행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주택담보대출의 90%가 CD금리에 연동되는 변동형 담보대출인 점을 감안하면 CD금리 상승은 담보대출금리 상승으로 연결되고 이는 고스란히 서민들의 대출금리 부담으로 이어진다. 실제 지난 8월5일 2.41%에 머물렀던 CD금리는 현재 2.57%로 한달 만에 0.16%포인트나 크게 올랐다. 4~5%대에 그쳤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연 6%대로 뛰어오른 것은 CD금리 상승세를 반영한 것이다. 8월 말 기준 서민들의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41조원으로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금리부담은 3조4,000억원이나 불어난다. 반면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은 1,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은행의 고금리예금 상환 부담을 고스란히 서민 대출자들에게 전가하는 꼴이 된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출구전략 실행에 나서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시중금리 상승세는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만약 이 같은 상황이 현실화되면 금리 부메랑에 시달리는 은행들이 대출금리 인상을 통해 예대마진을 확보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