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자동차가 누적 적자에서 벗어나려면 구조조정과 임금동결은 불가피합니다.”(쌍용차의 한 관계자) “상하이차그룹은 신규투자 약속을 지키지 않은 채 대량 해고만 강행하려 하고 있습니다. 쌍용차의 기술만 빼먹고 재매각하려는 게 아닌지 의심스럽습니다.”(쌍용차 노조의 한 관계자) 쌍용차가 중국 상하이차를 새 주인으로 맞은 지 2년여를 앞두고 최악의 위기국면을 맞고 있다. 신임 대표이사 선임을 둘러싸고 빚어진 노조 파업사태는 13일로 사흘째를 맞았지만‘경영 정상화’와 ‘재매각 수순’이라는 양측의 입장이 워낙 팽팽해 현재로선 좀처럼 해결의 가닥을 잡기가 쉽지않을 전망이다. 필립 머터프 상하이차 글로벌사업총괄 부사장은 일단 14일부터 노조와의 재협상(20차 협상)을 통해 파업 중지를 설득하겠다는 입장이지만 노조 측은 경영진을 검찰에 고발하는 등 강경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교섭 성사 여부마저 불투명해지고 있다. ◇경영정상화냐, 재매각 위한 정지작업이냐=노조 측은 사측의 구조조정 계획이 쌍용차를 재매각하기 위한 상하이차의 사전 정지작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조영진 노조 대외협력실장은 “상하이차가 지난 2004년 10월 쌍용차를 인수한 이후 평택공장에 대한 4,000억원대의 신규투자 약속을 거의 이행하지 않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대량의 노동자 해고를 추진한다는 것은 차량 핵심기술만 가져간 뒤 되팔기 좋게 몸집을 줄이려는 것 같다”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사측은 이번 구조조정 계획은 생존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자 쌍용차를 상하이차의 글로벌 핵심고리로 키우기 위한 차원이라고 해명하고 있다. 사측의 한 관계자는 “쌍용차는 2002년 이후 지속적으로 판매가 감소해 지난해의 경우 13만9,064대로 2만대나 줄어들었다”며 “올 들어서도 경유가격 상승으로 주력 차종인 디젤차의 내수판매 부진이 예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반면 고용규모는 2001년 6,126명(생산직 4,395명)에서 현재 6,936명(〃 5,378)으로 늘어나 인건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며 “원가절감을 위해 썼던 다른 방안을 모두 시도했지만 역부족이어서 마지막으로 인건비 절감을 위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노조 측은 “사측이 그동안 원가절감이라는 명분으로 중국산 부품 수입을 추진해왔으며 이제는 아예 기술유출까지 시도해오고 있다”며 쌍용차 공동대표를 겸임했던 장쯔웨이 상하이차 부총재 등을 업무상 배임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GM대우의 정상화를 벤치마킹해야=업계에선 쌍용차가 노사갈등에 따른 공멸위기에서 벗어나자면 GM대우의 부평공장 정상화 과정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부평공장은 옛 대우차시절 부평공장 근로자 1,700명이 정리해고되는 파국을 맞았고 GM이 대우차를 인수하는 과정에도 제외되는 수난을 겪었다. 그러나 2002년부터 GM대우의 위탁생산업체로 지정된 이후 생존을 위해 노사가 품질과 생산성 향상에 매진해 지난해 10월 GM대우에 인수되는 쾌거를 이뤘으며 올해엔 1,700여명의 정리해고자 전원 복직이라는 쾌거를 일궈냈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현재 쌍용차 노조와 상하이차의 관계는 상호 신뢰부족으로 인해 ‘상하이차의 투자 지연→노조의 불신 및 파업→상하이차의 투자 지연’이라는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상하이차는 투자 이행에 대한 신뢰를 먼저 노조에 심어주고, 노조 역시 생산성 향상을 통해 상하이차에 신규투자의 명분을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