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7일 서울 한은 본점 회의실에서 개최된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미국이 기준금리를 1년에 네 차례 이하로 인상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총재는 우리나라 기준금리 인하폭을 0.25%포인트보다 적은 0.1~0.15%포인트, 즉 '마이크로 스텝'으로 줄이는 방안에 대해 "지금 기준금리가 1.5%여서 0.15%포인트씩 움직일 만큼은 아니지만 (1%대 아래로) 금리를 인하할 상황이 온다면 고려해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이 총재는 박광온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이 "어느 정도 시차를 두고 미국이 금리를 인하하겠는가"라는 질문에 "2000년대 중반에는 17번 한 번도 쉬지 않고 금리를 내린 적도 있지만 그보다는 속도가 상당히 많이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커뮤니케이션을 보면 1년에 네 차례 이하일 것"이라며 "미국이 금리 인상을 점진적으로 하지 않겠느냐는 전제를 깔고 본다면 충격이 우려할 만한 정도는 아닐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우리나라 시간으로 18일 새벽 발표되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앞두고 열린 한은 국감에서는 미 금리 인상이 한국 경제에 미칠 파장에 대한 질의가 많았다. 이 총재는 FOMC 결정에 따른 파급효과에 대해 "(금리)결정 이후 연준이 정책 방향을 어떻게 끌고 가겠다는 암시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이 총재는 이날 처음으로 가계부채 전망도 내놓았다. 그는 "현재 1,13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가 지금 속도로 간다면 연말까지 30조원 더 늘어날 것"이라며 "경각심을 갖고 대처해야 할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금리 리스크에 노출된 상황이기 때문에 각별한 유의는 필요하다"며 "스트레스테스트 결과 시스템 리스크까지로는 가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회에 상정된 한은법 개정에 대한 질의도 나왔다. 이 총재는 한은 설립 목표에 '고용안정'을 추가하는 문제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그는 "고용과 관련해 통화정책도 거기에 부흥하는 쪽으로 가자는 취지에 공감한다"면서도 "금리를 통해 고용을 조정하는 경로가 복잡하고 효과를 계측할 수 없는 상황이다. 목표로 됐을 때 부담감이 커진다"고 말했다.
한은 조직의 전문성과 독립성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 총재는 물가가 예상치를 크게 밑도는 것에 대해 "소비자물가가 한은의 물가안정목표(2.5~3.5%)를 밑돈 것은 공급 측 요인이 컸다"고 설명했다. 이어 "(2016년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물가안정목표는 우리 안을 마무리했고 정부와 협의 중"이라며 "내년부터 시행할 경우 늦어도 12월에는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화폐단위 개혁(리디노미네이션)에 대해서는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다"며 "한은이 독자적으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하고 노력이 진행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