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장관급 회담을 위한 실무회담 개최는 지난해 북한 핵 실험 이후 얼어붙었던 남북 관계 회복의 본격적인 신호탄으로 해석할 수 있다. ‘2ㆍ13 베이징 합의’로 남북 관계를 가로막아 왔던‘북핵’이란 걸림돌이 해결의 단초를 마련한 만큼 남북 당국간 ‘대화 채널’과 쌀ㆍ비료 지원, 이산가족 상봉 등 ‘교류ㆍ지원 채널’이 정상화 수순을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정 통일부 장관이나 백종천 청와대 안보실장 등 외교안보 핵심 당국자들은 그동안 ‘6자 회담 진전과 성과’를 대북 지원 재개의 전제 조건으로 내세워왔던 것도 이 같은 맥락이다. 신언상 통일부 차관도 14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대북 지원과 관련, “6자 회담에서 합의된 결과로 지원하는 부분하고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지원하는 부분은 별개”라고 밝혔다. 신 차관은 이어 장관급 회담의 의제에 대해 “쌍방이 관심 갖는 모든 것이 제기되고 논의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장관급 회담에서는 이에 따라 지난해 7월 미사일 발사 이후 유보된 대북 쌀ㆍ비료 지원 문제는 물론 핵실험 이후 중단된 대북 수해 지원, 열차시험운행, 경공업 협력, 이산가족 행사 등 산적한 현안이 다양하게 논의될 전망이다. 남북간 ‘대화 채널’ 가동은 자연스레 ‘교류ㆍ지원 채널’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북한 미사일 발사 직후 중단된 이산가족 상봉 행사와 금강산 면회소 건설 재개가 가시화할 전망이다. 또 북한 군부의 반대로 지난해 5월 무산된 경의선ㆍ동해선 열차 연결 시험 운행도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우리 쪽의 기대 못지않게 북측도 신년공동 사설을 통해 남북관계 복원을 강조한 점을 고려할 때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장관급 회담 실무 접촉 재개와 관련, “우리 측 대표단 단장은 6ㆍ15 북남 공동선언의 근본 정신에 따라 북남 관계를 발전시켜 나가려는 우리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실무회담에 응한 이유를 설명했다. 김기남 북한 노동당 비서 등 주요 간부들도 “현 북남 관계를 하루 빨리 회복하고 화해와 협력, 통일의 길로 나가기 위한 응당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백학순 세종연구소 남북관계연구실장은 “남북 관계의 재갈과 같던 핵 문제가 해결의 길로 접어들었으니 회복 국면으로 가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며 “(정상회담 문제도) 어느 정부라 하더라도 이 타이밍과 콘텍스트(contextㆍ맥락) 안에서는 국익을 위해 바삐 움직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