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텔레콤이 애플과 구글을 넘어서는 '스마트 생태계'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위치기반서비스(LBS),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 7대 주력 서비스 플랫폼에 향후 3년간 1조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이를 위해 개방형 연구센터인 '오픈이노베이션센터(OIC)'를 서울대 SK연구동에 마련하고 애플ㆍ구글과 경쟁할 수 있는 세계적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전략이다. 정만원 SK텔레콤 사장은 25일 '7대 조기 육성 서비스플랫폼'으로 LBS, 커머스(Commerce), 메시징(Messaging), 콘텐츠 유통, SNS, 기업 대상 사업(B2B), 범용 플랫폼을 꼽았다. 이미 경쟁력을 인정받은 SK텔레콤의 T맵(LBS)과 문자서비스(메시징), T스토어ㆍ멜론(콘텐츠 유통), 스마트오피스(B2B) 등을 서비스플랫폼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게 SK텔레콤의 계획이다. 서비스 플랫폼이란 페이스북이나 구글맵스, 애플의 아이튠즈처럼 콘텐츠ㆍ서비스ㆍ애플리케이션을 소비자(단말기)에게 전달하는 일종의 '그릇'이다. 정 사장은 "지도를 보여주거나 음악을 틀어주기만 하는 건 애플리케이션이지만 여기에 외부 개발자와 협력해 발전시킬 수 있는 확장성이 더해지면 서비스 플랫폼이 된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이들 7대 서비스 플랫폼에 3년간 총 1조원을 투자하고 미국ㆍ중국ㆍ동남아 시장에도 진출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서비스 플랫폼에 필요한 '확장성'을 위해 우선 외부 개발자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개발자들에게 개발공간과 자금, 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OIC가 대표적인 지원 통로다. 또 T맵과 T스토어, 문자메시지 등의 기반기술(API)도 공개할 예정이다. 개발자들이 T맵이라는 밑바탕을 활용해 한 단계 더 진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일이 가능해진다는 이야기다. SK텔레콤은 또 현재 정보기술(IT) 분야의 주요 트렌드로 꼽히는 ▦실시간성 ▦개인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위치정보 등을 적극 육성할 계획이다. 또 장기적으로 구글의 안드로이드 같은 디지털기기용 운영체제(OS)를 독자적으로 내놓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정 사장은 "SK텔레콤이 무선인터넷 서비스 네이트를 2001년부터 시작했고 500만개의 콘텐츠를 만들어왔는데도 세계적 기업으로 거듭나지 못했던 점을 반성하고 있다"며 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확장성을 더한 서비스 플랫폼을 만들고 개발자들의 참여를 이끌어내면 성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기존 T아카데미, 모바일디바이스(MD) 테스트센터에 이날 서울대 SK연구동에서 정식으로 문을 연 오픈이노베이션센터까지 더해져 SK텔레콤의 '상생혁신센터' 체제가 완성됐다. T아카데미에선 스마트 기기용 콘텐츠 개발교육을, MD테스트센터에선 개발 및 시험환경 제공을, 오픈이노베이션센터에선 1인 창조기업 지원 및 육성을 주로 맡게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