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농림수산식품부가 도별 귀농인구를 예비집계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귀농가구 수는 6,500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추계됐다. 지난 2010년 4,067가구보다 무려 60% 증가한 규모다.
귀농인구는 2002년 769명에 불과했지만 이후 증가세를 보여 2004년 1,000명을 넘어서고서 2007년 2,000명, 2009년 4,000명을 각각 돌파했다.
2010년에는 전년보다 13명 줄어들어 증가세가 주춤했다. 그러나 1955~1963년 출생한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한 지난해에 다시 급증세로 돌아서기 시작했다.
귀농인구의 직업은 직장 은퇴자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은 자영업자와 제대군인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전남ㆍ전북ㆍ경북 등 땅값이 싸고 농업이 발달한 지역에 많이 정착했다. 수도권ㆍ충청도를 꺼린 것은 비싼 땅값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대도시 거주 베이비부머의 66.3%가 농어촌 이주를 희망하고 있으며 이 중 13.9%는 5∼10년 안에 이주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농식품부는 귀농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에 대비해 공동 영농과 유통, 농어촌 관광 등을 추진할 '농어촌 마을 공동경영체'를 육성하고 귀농인 현장실습 교육을 담당할 상담사를 양성할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