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이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가장 우려되는 것은 자금흐름”이라며 “다만 금리 인상 속도가 완만할 것으로 예상되고 한국은 기초여건과 외환 건전성이 양호해 다른 신흥국과 차별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중국의 경기불안과 미국의 금리 인상이 중첩되며 일부 취약한 신흥국의 금융불안이 확산될 가능성에 대해선 시나리오별 대비책을 세워놨다고 소개했다.
금통위는 이날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1.5%로 동결했다. 시장 일각에선 중국 위안화 쇼크에 따라 일부 소수의견이 개진될 가능성에 주목했으나 금리동결은 만장일치로 결정됐다.
이 총재는 우리 경제가 메르스의 단기 충격을 회복하고 완만한 우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 6월 크게 위축됐던 소비가 7월부터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고 투자 역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다”면서 “경제 주체들의 심리가 크게 개선된 신호가 감지된다”고 말했다. 경기가 정상 궤도를 찾아가고 있는 만큼 내년부터는 경제성장률이 3%대로 올라설 것이라는 게 이 총재의 판단이다.
최근 정희수 새누리당 의원 등이 고용 안정을 한국은행의 목적에 추가하는 것을 골자로 발의한 한은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당장 수용하기 힘들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 총재는 “한국은행의 목적 조항에 고용 안정을 추가하는 개정안이 발의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앙은행에 대한 시장의 기대와 요구가 커졌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라며 “다만 물가안정과 금융안정에 더해 고용안정까지 추가될 경우 목표 간에 서로 상충될 우려가 있고 정책 수단도 제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문제는 보다 세밀한 검토와 폭넓은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