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달러화 가치가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 속에서도 국내 기업들의 수출결제통화에서 달러 비중이 오히려 크게 증가하고 유로화 비중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원화 비중은 매년 소폭 늘고 있지만 1.6% 선에 불과해 여전히 미미한 것으로 분석됐다. 7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 가운데 미국 달러화로 결제된 비중은 81.6%로 80%선을 회복했다. 수출결제통화에서 달러화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02년 85.0%에서 꾸준히 하락해 2005년 79.1%로 떨어졌고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위기가 본격화된 2007년에는 77.2%까지 하락했다. 반면 유로화는 2002년 5.5%에서 2007년 9.6%까지 상승했으나 지난해 7.6%로 감소했고 2007년 4.8%를 차지했던 일본 엔화도 4.7%로 하락했다. 이는 국제금융위기 이후 달러 이외의 통화 결제를 늘리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등 국제 기축통화로 미국 달러화의 위치가 점차 약화되는 상황과는 다른 현상이다. 강명수 지경부 수출입과장은 "지난해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달러화의 비중이 다시 커졌다"며 "기업들이 안전자산으로 달러화를 여전히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유로화 결제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마련인 유럽 지역으로의 수출 증가율이 지난해 4.3%로 전체 수출 증가율(13.6%)을 크게 밑돈 것도 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수입결제통화에서도 지난해 달러화 비중은 82.0%로 전년(80.7%)보다 높아졌고 유로화 비중도 2007년 5.6%에서 5.8%로 올랐으나 일본 엔화는 같은 기간 10.8%에서 9.7%로 하락했다.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대중교역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중국 위안화의 결제 비중은 수출이 0.005%, 수입이 0.011%에 불과했다. 한편 수출결제통화에서 원화 비중은 2002년 0.4%에서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나 지난해 0.8%로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었고 수입결제통화에서 원화의 비중도 1.6% 수준이었다. 이에 비해 일본은 수출결제통화에서 자국 통화인 엔화의 비중이 지난해 상반기와 하반기 각각 40.3%, 39.4%에 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