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대학생 이영호(32∙가명)씨는 지난달 한 대기업의 최종 면접까지 갔다가 고배를 마셨다. 남부럽지 않은 학벌에 어학연수와 봉사활동 등 '스펙'만큼은 자신 있다고 생각했지만 "평소 대기업에 굉장히 비판적인데 왜 지원했냐"는 면접관의 말 한마디가 결정적이었다. 트위터 팔로어가 3,000명에 달하는 이씨는 평소 자신의 트위터에 재벌의 행태를 비난하는 글을 자주 올렸다. 이씨는 면접에서 낙방한 후 트위터 계정을 모두 비공개로 전환했다.
#2. 회사원 변정숙(26∙가명)씨는 입사하자마자 호된 신고식을 치렀다. 회사 동기끼리 만든 페이스북에서 상사의 험담을 늘어놓고 근무시간에 미용실에 갔던 사진을 트위터에 올린 것이 부장의 귀에까지 흘러 들어갔기 때문이다. 변씨는 부랴부랴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삭제했지만 업무태만을 이유로 감봉 3개월의 징계를 받았다. 변씨는 "사적 영역이라 생각하고 글을 썼지만 결국 나만의 공간이 아니었다"며 "회사 동기들 사이에서도 트위터 경계령이 내려졌다"고 말했다.
디지털 시대의 대표적 소통도구로 부상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가 불통의 온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트위터ㆍ페이스북ㆍ카카오톡 등의 등장으로 SNS는 시간과 장소의 경계를 허무는 소통수단으로 자리잡았지만 이로 인한 폐해와 고통에 시달리는 이른바 'SNS포비아(phobia)'가 확산되고 있다. 소통을 위해 출발한 SNS가 불통을 넘어 고통을 낳고 있다는 얘기다. 이는 사회 전반에 불신을 조장하는 역기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불거진 축구선수 기성용의 SNS 논란은 좋은 예다. 평소 소신 있는 발언으로 축구팬들의 인기를 모았던 그였지만 공식 페이스북 외에 별도의 페이스북을 개설해 최강희 전 축구 국가대표 감독을 비난하는 내용의 글을 잇따라 올린 사실이 드러나면서 비난이 쏟아졌다. 4일에는 주요 포털사이트의 실시간 검색어 1위에 오르기도 했다. 기 선수는 파문이 커지자 SNS를 모두 폐쇄하고 칩거에 들어갔지만 논란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하재근 문화평론가는 "SNS를 완전한 사적 공간이라고 생각하지만 공적으로 노출되는 곳이기에 평소에 친구들한테 얘기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유명인의 경우 SNS에 남긴 글 하나로 논란이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는데 이를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향이 많은 것 같다"고 말했다.
SNS가 우리 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해 8월 연예계를 뒤흔들었던 인기 그룹 티아라 멤버 간의 불화설도 화영을 제외한 멤버가 '의지'를 강조하며 화영을 겨냥한 듯한 비난 글을 올리면서 시작됐다. 이후 '연예인들의 올바른 SNS 사용법'을 주제로 한 이른바 소셜 교육이 한동안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SNS의 글로 인한 연예인의 해명과 그들 간의 소송전도 비일비재하다. 지난해 7월 배우 이채영은 트위터에 "심장 버튼을 끕니다"라는 글을 올렸다가 네티즌들에게 뭇매를 맞았다. 이씨는 곧장 "문학적 의미"라고 해명했으나 결국 트위터에서 탈퇴하는 소동을 겪었다. 가수 이효리도 지난해 "불편하다고 외면하지 마세요. 이 세상에 벌어지고 있는 우리가 먹고 있는 진실을 보세요"라는 글을 올려 고기 먹는 사람들에게 채식을 강요한다는 네티즌들의 비난을 샀다.
최근에는 방송인 강병규가 배우 이병헌과 이민정의 열애설에 대해 "트친님들 이XX 얘기해달라고 조르지 마셔요. 아마 조만간 임신 소식이 들릴 겁니다"라고 트위터에 올렸다가 이병헌 측으로부터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당하기도 했다.
SNS가 이처럼 논란의 중심에 떠오르는 것은 다른 어떤 소통도구보다 편의성과 파급력이 월등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로 대표되는 모바일기기의 대중화는 SNS의 접근성을 대폭 줄였다. 과거 1세대 SNS인 '싸이월드'는 컴퓨터 앞에 앉아 인터넷에 접속한 뒤 로그인해야 하는 과정을 거쳤으나 모바일 시대의 SNS는 마치 일기장을 쓰듯 모든 과정이 간소화됐다. 서로가 서로의 일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과 누구나 모바일기기를 통해 SNS에 사생활을 스스럼 없이 올리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는 점 역시 SNS의 또 다른 인기비결이다. SNS를 둘러싼 논란이 '디지털 시대의 필화(筆禍)' 혹은 '손가락이 낳은 지화(指禍)'라는 지적을 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택광 경희대 영미문화학부 교수는 "SNS에 올린 글 자체에 문제가 없더라도 본래 맥락과는 다른 의미로 메시지가 확산되면서 논란이 확대 재생산된다"며 "결국 SNS 자체가 1인 미디어로 기능하는 이상 스스로 조심하는 수밖에 없다"고 전했다.
SNS포비아는 연예인을 넘어 사회 각층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달 14일에는 한 여성이 도로 틈새에 빠트린 휴대폰을 찾아달라며 119를 출동시킨 내용을 페이스북에 올렸다가 네티즌들의 공분을 샀고 2011년에는 이정렬 전 판사가 이명박 대통령을 비난하는 내용의 '가카새끼 짬뽕' 사진을 올렸다가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트위터 마니아로 유명한 작가 공지영도 지난해 "여수엑스포에서 흰돌고래가 돌고래쇼 준비로 고통 받고 있으니 입장권을 사지 말라"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가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당시 엑스포 전시장에는 흰고래가 없었지만 공씨는 트위터만 보고 근거 없이 글을 올려 논란을 일으켰다. 올해 초에는 트위터 팔로어 165만명으로 소위 '트통령(트위터 대통령)'으로 불리는 이외수 작가가 자신의 혼외정사 소송에 대해 "저쪽 변호사는 한마디도 못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라는 글을 트위터에 올렸다가 네티즌들의 비난이 잇따르지 삭제하기도 했다.
카톡 등 개방형 SNS의 역기능이 문제로 떠오르자 최근에는 지인들끼리만 볼 수 있는 폐쇄형 SNS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NHN이 지난해 8월 출시한 '밴드'는 출시 한달 만에 가입자 100만명을 넘어서더니 올해 5월에는 1,000만명을 넘어섰다. NHN 관계자는 "아무에게나 드러나지는 않지만 끼리끼리 소통할 수 있는 은밀함이 가장 큰 매력"이라고 설명했다.
정덕현 문화평론가는 "SNS는 기본적으로 개인의 이름으로 가입하지만 사실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경계에 걸쳐 있다고 보면 된다"며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싶은 욕구와 은밀하게 소통하고 싶은 욕구가 상충하기 때문에 이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