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SectionName(); '010 번호 강제통합' 수면위로 가입자 비중 80% 넘어… 방통위 정책토론회 개최, 6월까지 결론내기로 임석훈기자 shim@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지난 10여년간 '017'로 시작되는 이동통신전화 번호를 사용하고 있는 윤모씨는 요즘 고민이 하나 생겼다. 스마트폰을 구입하고 싶지만 조만간 휴대전화 번호가 010으로 통합될 것이라는 소식 때문에 주저하고 있다. 번호가 010으로 바뀌면 지금까지 받아온 017 패밀리 요금제 혜택을 누릴 수 없게 된다는 점. 그는 한 달에 수 백분의 무료통화 혜택을 주는 017 패밀리 요금제를 활용해 시골에 있는 가족들과 안부통화를 하고 있다. '010'번호통합 문제가 수면위로 부상했다. 지난 2월말 현재 전체 이동전화가입자(3,902만명)가운데 010 비중이 80%를 넘어서자 방송통신위원회가 나머지 가입자의 강제통합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 방통위는 16일 서울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010번호통합, 어떻게 추진해야 하나'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010번호통합에 대해 사업자, 시민단체, 학계 등의 의견을 들어보는 자리로, 방통위는 여기에서 제기된 의견을 수렴해 오는 6월까지 결론을 낼 계획이다. 지난 2003년 당시 정보통신부는 3세대(3G)서비스 식별번호로 010을 사용하도록 허용하면서, 전환율이 80%에 도달하는 시점에 통합방안을 마련하기로 한 바 있다. 정통부는 이동전화 식별자원의 부족과 011 등 특정번호의 브랜드화 방지를 통합 논리로 내세웠다. 지금으로선 정부가 당장 강제통합을 추진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번호변경을 원하지 않는 이용자들의 반발이 우려되는데다, 특정번호의 브랜드화 등에 대한 우려도 많이 해소됐기 때문이다. 방통위의 연구용역을 수행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주재욱 박사는 "식별번호 브랜드화 문제는 번호이동성 제도의 성공적 시행으로 상당부분 해결됐으며, 번호자원부족 문제도 시급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여기에 이동통신사업자들의 입장도 엇갈리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강제통합보다는 타협점을 찾을 공산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업계에서는 강제통합시점을 늦추거나, 소비자의 선택권을 존중하는 쪽으로 결정이 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합시점 연기와 관련해서는 010 가입자 비중이 95%이상 되는 시기에 번호를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오는 2014년이 돼야 010 비중이 95%를 넘을 전망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