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은 16일 "외국인 투자를 촉진시키기 위해 현금 지원을 포함한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후보물질 발굴부터 산업화까지 전주기적으로 지원하는 대규모 신약 개발 프로젝트에 내년부터 관계 부처 공동으로 6,000억원을 지원하는 계획도 공개했다. 최 장관은 이날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주한미국상공회의소(Amchamㆍ암참) 주최로 열린 오찬간담회를 통해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경기성장이 예상될 만큼 외국 투자가에는 적절한 환경을 갖췄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 장관은 "한국은 녹색성장 등 국가산업 발전 전략과 연계된 투자유치에 역점을 두고 있다"며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촉진을 위해 국제 공동 연구개발(R&D) 사업예산 확대 및 현금 지원을 포함한 외국인 투자 인센티브 등을 대폭 늘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정부는 에너지 기술 국제 공동연구 재원을 지난해 30억원에서 올해 135억원으로 증액했다. 그는 또 "우리 정부는 국내 기업의 신약 개발 R&D 활성화를 위해 세제 개편, 펀드 조성, R&D 지원 등을 추진하고 있다"며 "신약 개발 R&D 세액공제 비율을 대기업은 20%, 중소기업은 30%로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후보물질 발굴부터 산업화까지 전주기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대규모 신약 개발 R&D 프로젝트를 관계부처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내년 사업 개시를 목표로 8년간 6,000억원을 투자하는 것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 방향에 대해 최 장관은 "오는 2012년부터 발전차액제도를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 할당제(RPS)로 전환해 신재생에너지 시장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무역량 감소에 대해서는 "무역 규모만 보면 줄어들고 있지만 여전히 미국은 한국의 가장 중요한 파트너"라며 "중국과의 교역이 가장 큰 것이 사실이지만 그 중 상당 부분은 중국을 거쳐 미국 시장으로 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