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한복 입기·절하기] 키 작다면 치마·저고리 비슷한 색으로 고르세요

키 크고 어깨 넓은 여성이라면 조끼형 저고리 입으면 아담해보여

얼룩진 한복은 타월 두세겹 깔고 벤젠 묻혀 여러번 두들기면 빠져




풍요로운 명절 한가위가 찾아왔다. 명절 분위기를 살리는 데는 한복 만한 것이 없지만 자신의 얼굴형과 체형에 맞게 차려 입어야 맵시 있는 연출이 가능하다. 더 이상 한복은 옛날 사람들만 입는 전통 의상이 아니라 패션 피플들의 아름다움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의상이다.

◇한복 입을 땐 '얼굴형'과 '몸매'파악이 우선=한복을 맵시나게 입기 위해서는 자신의 얼굴형과 몸매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둥근 얼굴형은 저고리의 깃을 깊게 파고 동정도 좁게 다는 것이 좋다. 저고리의 깃과 고름에 회장을 하면 정갈하면서도 활동적인 느낌을 살릴 수 있다. 얼굴이 긴 편이라면 저고리의 깃을 넓고 짧게, 동정도 넓게 해야 한다. 치마는 길게 저고리는 짧게 하며 저고리 앞도련의 곡선이 가파르지 않고 완만하면 효과적이다.

키가 크고 어깨가 넓은 여성이라면 소매와 몸판의 색깔을 달리 배색한 조끼형 저고리나 삼회장저고리가 잘 어울린다. 어깨선이 안쪽으로 들어와 어깨가 좁아 보이는 효과를 주기 때문이다. 저고리의 몸판 색을 소매보다 짙은 색으로 배색할 경우 날씬해 보인다.

반면 키가 작고 어깨가 좁은 여성의 경우 소매와 몸판의 색이 같도록 하고 치마와 저고리를 진분홍과 연분홍처럼 같은 색 계열로 배색하면 키가 커 보이고 팔이 길어 보인다.

◇고름은 반듯하고 펴고, 땀 많다면 패치를 활용=한복은 올바르게 입는 법이 중요하다. 고름을 맬 때에는 고름을 반듯하게 펴서 양손으로 잡은 후 긴 고름은 아래로 짧은 고름은 위로 가도록 X형으로 잡고 위의 짧은 고름을 안쪽으로 집어넣어 잡아 빼어 돌려 감는다. 돌려감은 짧은 고름 사이로 긴 고름을 넣어 고를 만든 후 잡아당겨 고름 매무새를 잘 정돈하면 된다.

한복은 땀이나 기름 등에 쉽게 오염되기 때문에 옷감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겨드랑이나 목덜미 등에 패치를 붙이면 얼룩으로 원단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요리나 설거지를 할 때는 가능한 한복 착용을 피해야 한다. 남성의 경우 한복 원단을 실크 100%가 아니라 혼방소재를 고르면 구김도 덜 가고 얼룩이 졌을 때 빨기도 좋다.

◇한복에 얼룩 생기면 타월 깔고 보관=한복을 오래도록 깨끗하게 입고 싶다면 명절이 지난 후 한복 보관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먼저 한복을 깨끗이 털어 먼지를 제거한 후 개어서 정리한다. 금·은박 장식이 된 부분은 부드러운 한지를 사이사이에 끼워 넣어 문양이 뒤틀리거나 닳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만약 얼룩이 진 상태라면 보관하기 전에 처리를 해야 한다. 얼룩을 오랫동안 방치할수록 원단이 상하기 때문이다. 오염된 부위에 타월을 두세 겹 바닥에 깔고 얼룩이 뭍은 쪽의 반대편은 타월에 닿도록 놓는다. 벤젠을 솜 뭉치에 묻힌 후 타월에 얼룩이 완전히 묻어나올 때까지 이리저리 뒤집어 가며 두들기거나 누르며 빼면 된다. 이를 시도하기 전에 눈에 잘 띄지 않는 부분을 먼저 시험한 후 옷감이 상하지 않는지 확인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세탁 과정이 번거로울 경우 한복 전문 드라이크리닝에서 대행하는 세탁 서비스를 활용해도 좋다.

男 큰절, 왼손이 오른손 위로



女 큰절, 오른손이 왼손 위로


절은 우리 전통의 인사법이다. 지금은 과거에 비해 절을 하는 경우가 많이 줄었지만, 어른을 뵙고 인사를 드릴 때 절을 하면 좀 더 깊은 예의를 표할 수 있다.

절은 평절과 큰절 두 가지가 있는데 남자의 경우 절 하는 법의 차이가 없다.

남성이 큰절을 할 경우에는 우선 바른 자세로 서서 두 손을 앞으로 모아 잡는 것이 시작이다. 이후 양손을 포개 양 팔꿈치와 손이 배 부근에서 수평이 되도록 한다.

이 순간 왼손이 오른손 위에 올라가도록 해야 한다. 허리를 굽혀 손으로 땅을 짚고 왼발을 먼저 구부린다. 그 다음 오른발을 구부려 왼발 바닥 위에 포개서 앉는다. 엉덩이를 발에 붙이고 손을 구부려 양 팔꿈치가 땅에 닿도록 한 뒤 얼굴이 손까지 내려올 정도로 허리를 굽혀 절한다. 이때 엉덩이가 위로 들리지 않도록 한다. 절한 뒤 잠시 머물러 있다가 머리를 들며 팔꿈치를 바닥에서 뗀 뒤 일어나 왼쪽 발을 오른쪽 발과 가지런히 모은다.

여성이 큰절을 올리려면 바른 자세로 손을 앞으로 모은 상태에서 손과 팔꿈치가 수평이 되도록 어깨 높이로 들고 고개를 숙인다. 남자와 반대로 오른손이 왼손 위에 가도록 포갠다.

포갠 양손 사이로 시선은 바닥을 향한다. 그 다음에는 왼쪽과 오른쪽 순으로 무릎을 구부린 후 오른발이 아래가 되게 발등을 포개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손등을 이마에 꼭 붙인 상태에서 윗몸을 45도쯤 앞으로 굽혀 절한다. 잠시 머무른 후 오른쪽 무릎을 먼저 세워 일어나 발과 손을 가지런히 모은다.

여성의 평절은 큰절과 거의 비슷하지만 두 손을 이마에 올리는 것이 아니라 양 옆으로 해 손끝을 바닥에 짚는 것이 다르다.

/사진제공=박술녀한복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