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세대 강달영 교수팀 “기존 재료 사용·간단한 공정, 1∼2년 내 상용화 가능”
국내 연구진이 유리 기판을 얇은 두께로 가공해 여러 번 여러 방향으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전자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강달영 교수 연구팀은 17일 유리 기판을 10마이크로미터(㎛=10만분의 1m) 이하의 얇은 두께로 가공, 구부러지는 것은 물론 접히는 디스플레이와 전자소자로 만드는 게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유리는 광학 투과도나 수분·공기 유입을 막는 특성 등 물성이 플라스틱보다 월등히 우수하지만 깨지기 쉽다는 단점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기판으로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유리를 플렉서블 장비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강 교수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유리기판을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얇은 두께로 가공하면 구부리거나 접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렇게 만든 유리기판은 두 차례 접어 원래 크기의 4분의 1로 줄여도 제 기능을 발휘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또 유리 및 플라스틱 기판 위에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 변색 디스플레이를 제조해 접는 유리 디스플레이와 전자소자를 실제로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
강 교수는 “역학적 설계를 통해 기판만 간단히 가공하고 나머지는 깨지기 쉬운 투명전극 재료(ITO)나 금속 박막 등 기존 산업에서 사용 중인 재료들을 그대로 이용했기 때문에 실제 생산에 적용하기까지 시간과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며 “이 기술을 활용하면 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태블릿이 되는 제품도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연구재단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된 이 연구결과는 재료과학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Advanced Materials, 9월 9일자)에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