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해외건설, 신바람을 일으키자]2부-<4>수주 경쟁력의 해법을 찾자
입력2004-08-09 19:35:12
수정
2004.08.09 19:35:12
[해외건설, 신바람을 일으키자]2부수주 경쟁력의 해법을 찾자
첨단건설기술 R&D투자 확대 시급국내업체들 연간 1兆불과…매출액의 1%선 그쳐선진기업과 10년이상 기술격차 갈수록 벌어져건설기술 개발에 조세감면 혜택등 인센티브 필요
기본설계 능력 확보 반드시 넘어야할 산
'눈'과 '귀'를 터라
1부 : 해외건설 활로가 뚫린다
오일 달러가 움직인다
제2의 엘도라도가 뜬다
2부 : 해외건설 진흥책을 찾아라
금융이 관건이다
국내 건설업체의 해외 진출 바람이 한껏 고조됐던 지난 5월 말 중동으로부터 반갑지 않은 소식 한 통이 날아왔다. 올 상반기 중동 건설시장의 대어(大魚)로 꼽히던 이란의 테헤란 지하철 4호선 건설사업 시공권이 13억6,300만달러(기계ㆍ장비류 매출 포함)에 중국 북방공업총공사(NORINCO)의 손으로 넘어간 것이다.
고(高) 난이도 건설 사업인 지하철 공사를 중국 기업에게 빼앗겼다는 것은 국내건설업계엔 뼈 아픈 결과였다. 이는 기술 경쟁력에 있어서 조차 후발국 건설업체들에게 추월 당하기 시작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실제 북방공업총공사는 국내 최상위급 건설사인 대우건설ㆍLG건설ㆍ현대건설 컨소시엄은 물론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지멘스까지 제치고 사업을 따냈다.
◇선진 기업과 기술 격차 10년 이상 벌어져= 문제는 이 같은 현상이 앞으로 계속해서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국내 건설사와 중국 등 후발 기업들과의 기술격차는 좁혀지고 있는 반면 미국ㆍ유럽ㆍ일본등 선진국 기업들과의 격차는 갈수록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건기연)의 건설기술 수준 지표를 보면 한국기술지표는 95년 일본 기술지표보다 17.8포인트의 뒤졌던 것이 2000년에는 21.3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건기연의 이유섭 수석연구원은 “국내 건설업체들의 기술 수준은 일본에 비해 10여년 정도 뒤쳐져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며“미국ㆍ유럽기업과 비교하면 기술격차는 더욱 클 것”이라고 말했다.
선진 기업들과의 기술 격차가 좁혀지지 않는 것은 상대적으로 국내 건설산업의 기술 부문에 대한 연구ㆍ개발(R&D) 투자가 뒤쳐진 탓이다. 미국의 경우 지난 2000년 현재 건설산업 및 건축ㆍ엔지니어링 부문에 대한 민간과 정부의 R&D 투자 규모가 최소 33억8,100만 달러(약 3조9,388억원) 이상 이었고, 최근까지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국내 건설업체들의 연간 R&D 투자 규모는 매출액의 1% 선도 못 미치고 있으며, 이는 금액으로 따져볼 때 1조원 미만에 불과하다. 한 건설관련 전문가는 “민간 R&D투자액에 정부의 연간 건설부문 연구개발예산 700억원의 자금을 포함시킨다고 해도 국내 건설산업의 공공ㆍ민간 R&D 투자 규모는 미국의 4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친다”고 지적했다.
◇건설기술 개발에 각종 인센티브 적용돼야= 건설업체들의 R&D 투자 확대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지만 정작 국내 건설환경은 기업들의 기술개발 의욕을 오히려 꺾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비용을 들여 신기술을 개발해 봐야 써먹을 곳이 없다는 것. 실제로 국내건설업체들이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에 등록하는 신기술은 매년 감소세를 보여 99년 77건이던 것이 지난해엔 44건에 그쳤고, 올해들어선 현재까지 고작 12건만이 신규 등록됐을 뿐이다.
따라서 기업의 기술투자 의욕을 고취하기 위해 건설업체의 기술투자에 대한 조세 감면 폭을 확대하고, 정부차원의 연구비 지원을 대폭 늘리는 정책이 실시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신기술에 대한 수요를 늘리는 정책 도입을 통해 건설업체들이 R&D의 필요성을 자발적으로 느끼도록 해야 하다는 주장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정부도 지난 89년부터 건설기술관리법상의 ‘신기술 지정제도’를 도입하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발주처 대부분이 검증되지 않은 신기술 사용을 꺼리고 있으며, 신기술 개발업체에 대한 PQ 등 시공 입찰시 가산점 부㈄?형식적으로 이店側?있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국내건설사업은 주로 설계ㆍ시공 부문이 분리돼 발주되고 있어 공정관리와 사업성분석 관련 기술개발을 소홀히하고 있다”며, “해외건설산업의 조류에 맞도록 발주방식을 턴키(turn-key) 등의 일괄도급방식으로 바꾸야 한다”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4-08-09 19:35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