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관심이 가는 것은 아무래도 조준희 은행장이다. 조 행장은 기업은행 창사 이래 최초로 탄생한 자행 출신 은행장이다. 현재 조 행장에 대한 평가는 관가나 시장 모두 긍정적이다. 금융 당국에서조차 "시중은행장 중에서 기업은행장만이 제대로 된 역할을 하고 있다"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다.
하지만 국책은행이라는 속성상 대선과 정권 교체 가능성은 주요 변수로 남아 있다. 금융계 관계자는 "자행 출신 첫 은행장이란 점은 반대로 그 이전까지는 모두 낙하산 인사가 은행장으로 왔다는 얘기"라며 "정권이 바뀌면 다시 낙하산 인사가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부행장 중에서는 조 행장의 함께 등기이사로 등재돼 있는 김규태 수석부행장과 주영래 개인여신 부행장의 거취도 관심사다. 하지만 이들은 지난해 등기이사에 이름을 올린데다 임기가 오는 2014년까지라 은행 내 잔류가 예상된다.
기업은행은 캐피탈ㆍ투자증권ㆍ연금보험 등 총 6개의 자회사를 두고 있다. 각 자회사 대표이사에는 외부인사와 내부인사가 고루 섞여 있다. 외부인사야 경영성과가 연임여부를 가르는 잣대가 되겠지만 내부출신 인사는 임기연한에 따라 거취가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정권 교체 등으로 기업은행장이 바뀔 경우 자회사 대표의 물갈이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