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해협 부산과 일본 대마도 중간지점에서 거대한 소용돌이성 흐름이 최초로 발견됐다.
국립해양조사원은 대한해협 해수 흐름을 관측한 결과 반경 20km 이상의 대형 시계방향 소용돌이 흐름이 대한해협의 동측과 서측 2곳에서 수시로 발생하는 현상이 처음 발견됐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부산과 거제도에 안테나 6개를 설치, 전파를 쏴 해수면에서 반사되는 반사파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해양조사원은 발견된 대형 소용돌이성 해류의 이름을 'ESEE_1,2(East Sea Entrance Eddy_1,2'로 명명하고 향후 과학적인 분석을 위해 국내외 해양 학자들의 학술연구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한해협은 적도 부근에서 올라오는 난류가 동해로 유입되는 유일한 길목으로 동해의 해수 흐름과 수온, 염분 등 해양환경 변화를 좌우하는 중요한 해역이다. 부산항, 동해와 러시아를 오가는 국제 선박이 통과하는 대형 선박들의 길목이기도 하다.
그동안 이 해역은 우리나라와 일본의 해상 경계에 위치해 있어 중요성에 비해 제대로 관측이 이뤄지지 않았으나 이번 조사를 통해 전체적인 바닷물 흐름 양상이 파악됐다고 해양조사원은 설명했다.
이번 관측 결과는 거제도~대한해협에 이르는 넓은 해역과 가덕도~부산신항의 상세 해역으로 나눠 이 달 말부터 국립해양조사원 홈페이지(www.khoa.go.kr)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된다./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