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자동차연구센터(CAR)가 최근 내놓은 '2014년 미국 자동차 제조공장 근로자들의 시간당 임금조사' 보고서를 보면 현대자동차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자동차 조지아공장 생산직 근로자의 시간당 평균임금은 41달러(약 4만5,300원)다.
생산성과 효율성도 높았는데 앨라배마의 시간당 자동차 생산대수(UPH)는 73대, 조지아는 66대였다. 인력운용의 효율성을 보여주는 편성효율은 두 곳 모두 92%였다.
우리는 어떨까. 현대차 울산공장의 UPH는 53대, 기아차 소하리는 44대 수준이다. 울산공장의 편성효율도 65%에 불과하다.
쉽게 말해 미국 근로자가 일을 더 잘한다는 소리다.
현대차의 한 관계자는 "임금수준은 나라별·지역별 물가와 생활 수준이 달라 절대 비교는 어렵다"면서도 "미국 근로자가 생산성은 더 높으면서도 우리나라보다 임금은 적게 받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현대차의 아킬레스건 가운데 하나는 노사 문제다.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같다.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노조의 계속되는 기득권 챙기기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점은 전문가들 모두가 동의한다.
밖에서 큰 파도가 몰려오는데도 노조는 여전히 일방적 이익 챙기기에만 골몰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임금체계 개편을 위해 노조가 사측과 함께 해외시찰을 다녀오는 것을 포함해 바뀌어야 한다는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지만 여전히 근본적인 변화가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내년부터는 현재의 '8+9' 근무체제가 '8+8'로 바뀐다. 8시간ㆍ9시간 2교대 하던 것을 8시간ㆍ8시간으로 줄이는 셈이다.
노조는 임금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특히 노동강도가 세지면 안 된다는 게 노조 생각이다. 근무시간이 줄면 현대차는 약 12만1,000대, 기아차는 9만4,000대의 생산량이 감소한다.
노조는 이를 설비를 더 투입하거나 채용을 늘리라고 요구하고 있다. 현대차 남자 직원의 평균 연봉은 9,500만원이다. 그런데도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하고 매년 임금은 더 올려야 한다는 것이다.
직원들 사이에서 "통상임금 소송은 로또"라는 얘기까지 나돌 정도다. 만에 하나 소급분을 받게 되면 수천만원에서 많게는 1억원까지 회사에서 돈을 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통상임금 부분은 1심 판결에서도 옛 현대자동차서비스 직원을 빼고는 패소했지만 이런 분위기 탓에 노조는 임금체계 개편의 선제조건으로 통상임금을 거론하고 있다. 게다가 정년연장과 복리후생 지원확대는 별개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생산성은 낮은데 근무시간도 줄이면서 임금은 유지하거나 더 높여달라는 주장은 상식적으로는 납득할 수가 없다"며 "전형적인 기득권 주장"이라고 했다.
노조안대로라면 인건비 부담은 회사와 소비자가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
2013년 기준으로 현대차의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은 무려 14.3%에 달한다. 지난해도 판매관리비가 증가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최소 비슷한 수준이거나 더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수준은 경쟁업체에 비해서도 과도하게 높다. 제너럴모터스(GM)와 도요타의 경우 9% 수준이다. 자동차 업계의 고위관계자는 "매출액 대비 인건비가 10%가 넘어 14%까지 간다는 것은 향후 경영에 큰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얘기"라며 "국내 시장점유율이 떨어지고 해외에서의 경쟁도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빨리 변하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때문에 현대차에서는 큰 틀에서 성과능력급제로 가는 방향을 검토하고 있다. 성과나 능력에 관계 없이 매년 임금이 오르는 지금의 호봉제로서는 미래가 없다는 판단 때문이다.
반면 노조는 신연봉제에 대해서는 강력 반대다. 수당체계를 단순화하는 대신 기본급을 올리자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현대차 노조가 최소한 단계적 합의안이라도 내놓아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지금의 요구수준을 지속하면 '회사 경쟁력 약화→이익감소→구조조정'의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잘나가던 미국 '빅3' 중 GM과 크라이슬러가 파산까지 갔던 데는 노조의 과도한 요구가 한몫했다.
아직까지는 현대차가 버틸 수 있는 체력이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부담이 더 늘어나면 언제든 위기가 찾아올 수 있다는 얘기다. 이는 우리나라 경제에도 치명타가 될 수 있다.
자동차 업계의 고위관계자는 "현대차 노조가 연봉제 등을 포함해 당장 올해부터 임금체계 개편을 적용하기는 쉽지 않을 수 있겠지만 향후 몇 년에 걸쳐 전환한다는 로드맵을 만들 수는 있을 것"이라며 "올해가 좋은 기회이며 앞으로는 기회가 없을 수도 있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