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닥의 핵심부품인 머니퓰레이터(Robot Manipulator, 이하 로봇암)는 국내에서는 제품을 구할 수 없었고, 지금까지 일본의 산쿄사(Sankyo) 제품을 사용하여 왔으나, 정부 기관인 지식경제부 주관의 ‘스마트 프로젝트’를 2009년부터 실시하여 현대중공업, 삼성서울병원과 함께 국산화를 추진해왔다.
기존 암과 비교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 제품인 국산 로봇암은 조립이 용이할 뿐 아니라 신속한 유지보수가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또한 내구성이 보완된 이점까지 갖추고 있어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2008년 로보닥은 이미 고관절전치환술에 대한 FDA승인을 완료한 상태이나, 국산암을 새롭게 적용한 제품으로 허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씨티씨는 이번 제품개발 동안 과거의 개발이력을 재정비하고 동시에 수술로봇 인허가 및 품질관리 전문가와의 협업을 통해 수술로봇 의료기 회사의 노하우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큐렉소 관계자는 “기존의 로보닥에서 업그레이드 된 국산 로봇암의 개발과 인허가 등의 모든 준비를 완료했다는 것은 씨티씨가 의료기 제조업체로서 확실한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전하며, “2014년 하반기에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는 새로운 인공관절수술로봇의 개발과 인허가에 대한 부분도 가속화 될 것으로 기대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진행중인 차기 버전 로보닥의 연구 개발은 무엇보다 편의성과 안정성을 중점으로 적응증의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세부적으로는 3가지의 목표를 두고 있다. 시스템 운영체계와 하드웨어 변경을 통한 시스템 안정성 강화, 수술과정에 관여하는 소프트웨어의 변경을 통한 수술시간 단축, 수술계획을 담당하는 프로그램의 교체를 통한 기능향상이다.
한편, 로봇이 직접 관절수술을 할 수 있다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준 로보닥은 뼈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실제 뼈와의 정합을 통해 수술하는 시스템과 방법에 대한 특허를 바탕으로 개발된 인공관절 수술로봇으로 큐렉소의 자회사인 씨티씨는 이 특허를 비롯하여 수술로봇관련 22개 국제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IBM의 수술용 로봇 관련 특허사용권한을 확보하고 있다.
안정화된 시스템을 기반으로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는 로보닥이 앞으로 더욱 기대감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관절통증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보단 안전하고 편안한 수술결과를 제공할 수 있을지 그 행보가 주목된다.
/디지털미디어부
[위 기사는 해당업체의 자료를 기초로 작성한 기사입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