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이 표방한 '서민 대책'에 대한 정부 부처들의 홍보전략이 점입가경이다. 잇따라 쏟아지는 서민대책에 대한 국민들의 반응이 신통치 않은 원인이 홍보 부족에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인데 정책의 내용에 대한 진솔한 자체 평가부터 필요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3일 기획재정부와 문화체육관광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일 세종로청사와 과천청사ㆍ대전청사 등 종합청사에 '서민을 따뜻하게 중산층을 두텁게'라는 가로 15m, 세로 1m 크기의 초대형 입간판을 걸었다. 과천의 경우 지하철역 입구에 높이 15m짜리 입간판을 별도로 설치했다. 정부가 정책 홍보를 위해 캠페인을 펼치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3개 청사에 한꺼번에 그것도 일반 민원인들이 왕래하는 공간이 아닌 공무원들이 업무를 보는 사무동 건물에 홍보 간판을 붙인 것은 이례적이다. 경제부처들이 모여 있는 과천청사의 경우 민원인들이 오가는 안내동과 함께 기획재정부가 입주한 1동 현관에 초대형 '서민간판'이 붙었다. 이 자리에 홍보간판이 붙은 것은 이명박 대통령 취임 때 걸린 축하 현수막 이후 처음이다. 정부청사관리소의 한 관계자는 "드문 경우지만 범정부 차원 캠페인이 펼쳐질 때 간판을 내걸곤 한다"고 밝혔다. 간판으로만 놓고 보면 'MB 서민대책'이 대통령 취임 이후 펼쳐진 정책 중 가장 중요도가 높은 셈이다. 정부는 이번 간판에 참 많은 신경을 썼다. 지난 7월15일 문화부 주최하에 9개 주요부처 홍보기획관이 머리를 맞댄 끝에 나온 아이디어인데 간판 제작에만 1,000만원이 들어갔고 앞으로 홍보물 제작에 추가로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재정부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서민대책을 중점적으로 펴고 있는데 이에 대한 홍보전략의 일환으로 간판 설치에 나섰다"며 "향후 정부 정책을 알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간판 설치가 과거 권위주의 정부 시절의 '관제홍보'를 연상하게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과천청사의 한 공무원은 "2000년대 들어서 청사 건물에 직접 간판을 다는 경우는 거의 보지 못했다"며 "홍보를 하는 것은 좋지만 공무원은 물론 국민에게도 일방적으로 강요하는 느낌이 들어 보기에 별로 좋지 않다"고 꼬집었다. 간판을 본 한 민원인은 "간판에 쓸 돈이 있으면 차라리 겨울철 쪽방촌에 연탄 한장 더 주는 것이 진정한 서민 정책이 아니냐"며 쓴웃음을 지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