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정보화지원사업에는 생산현장디지털화사업 80억원 등 총 215억원이 투입된다. 특히 주조·금형·열처리 등 생산여건과 인력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뿌리산업 등을 중심으로 생산현장 정보화지원이 이루어진다. 또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등 국제무역환경 변화에 따른 원산지증명이 필요한 중소기업에 ‘원산지증명시스템 구축지원’이 시행되며, 전문인력이나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규모 기업의 정보화지원을 위해 ‘경영혁신 플랫폼 지원’이 본격화된다.
중기청은 아울러 최근 중소기업 기술유출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중소기업 기술유출 방지·대응지원을 더욱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먼저 중소기업 전산망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기술지킴서비스)으로 중소기업 2,000개사의 중요 기술·경영정보에 대한 온라인 유출·침해를 원천적으로 차단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기술유출로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보안·법률전문가를 파견해 컨설팅과 기술유출방지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기술임치금고도 지난해 7,992개에서 올해 1만3,000개로 크게 확충한다. 사내 보안전문가 과정을 통해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유출 사례 및 대응요령 등을 담은 ‘기술보호 매뉴얼’도 보급한다.
중기청은 이달 중 각 광역권역별로 관련 사업설명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정보화지원사업은 3월4일까지 ‘중소기업 정보화지원종합관리시스템(http://it.smba.go.kr)’에, 기술보호지원사업은 ‘중소기업 기술보호통합포털’(www.ultari.go.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