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금융권의 비은행권 부문 비중은 올 1ㆍ4분기 47.2%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가계대출 규모도 404조8,000억원으로 사상 최대 수준에 이른 것을 염두에 둔 발언이다. 권 원장은 지난 1일 서울경제신문과의 '가계부채 관련 긴급현안 인터뷰'에서도 "2금융의 가계대출, 특히 주택담보대출은 대체로 후순위의 성격이 짙어 은행보다 먼저 부실화의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2금융 전반의 가계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의 건전성 등을 점검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권 원장은 이날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금융경영인 조찬강연에서 가계부채 문제의 잠재리스크로 채무상환 대비 과도한 부채규모, 가계부채의 질적 수준 저하, 단기ㆍ일시상환 또는 거치식 분할상환 위주의 대출구조 등을 꼽은 뒤 이같이 밝혔다. 권 원장은 "국내 신용등급 7등급 이하 저신용자가 660만명이며 최근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는 영세 자영업자는 170만명, 하우스푸어는 70만명에 달한다"면서 "지금은 괜찮지만 앞으로 부채상환 능력에 있어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군"이라고 분석했다. 또 "과도한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 금융 당국, 금융회사의 공조가 중요하다. 고정금리 및 비거치식 분할상환 대출 비중 확대, 자체적인 저신용자 채무조정, 장기자금 조달 노력 등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계속된 부동산 경기침체로 촉발된 각종 경제 위험을 해결하려는 방안도 제시했다. 권 원장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추가 손실 가능성에 대비하고 주택담보대출 건전성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분할상환 전환ㆍ금리 조정 후 만기연장 등 하우스푸어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