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신년기획] 지지율 앞섰던 안철수, 김정일 사망후 박근혜에 밀려
서울경제신문·한국리서치 신년 설문조사- 대선 지지도그토록 막강하던 안철수가… 충격 결과 北리스크 커질수록 풍부한 정치경험에 점수
이철균기자 fusioncj@sed.co.kr
문재인 이사장 7.1% 3위… 20%는 지지후보 결정 유보
"야권 통합후보 지지" 32.5%… 정권교체 가능성 높아
무소속·무응답 40% 넘어 기존 정당 불신 팽배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사망은 대선구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자대결에서도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를 앞섰던 안철수 서울대 융합기술대학원 원장이 김 위원장 사망 이후에는 박 전 대표에게 뒤졌다. 북한 리스크가 커질수록 아무래도 정치 경험이 풍부한 박 전 대표에게 기대는 심리가 더 크다는 뜻이다.
설문조사 결과 김 위원장 사망 전후 대선지지도는 큰 변화가 나타났다. 서울경제신문은 김 위원장 사망 이전과 사망 이후 대선지지도를 시차를 두고 2차례에 나누어 설문조사했다.
김 위원장 사망 이전에 '내일 투표일이라면 누구를 지지하겠냐'는 설문에서는 다자대결에서도 안 원장이 32.2%의 지지를 얻어 22.7%의 응답률을 보인 박 전 대표를 10%포인트 가깝게 앞섰다. 하지만 김 위원장 사망 이후 '누가 대통령으로 가장 적합하냐'는 설문에서는 박 전 대표가 31.5%의 지지를 얻어 안 원장(23.5%)을 앞섰다. 김 위원장의 사망이 외교∙안보 관련 경험이 없는 안 원장은 물론 여성인 박 전 대표 모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일부 전망이 있었지만 실제로는 안 원장의 지지도만 내려가는 양상이다. 국가가 위기를 맞으면 국민들은 본능적으로 안정적인 리더십을 원하는데 김 위원장 사망 이후에는 아무래도 박 전 대표가 더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하지 않겠냐는 기대감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누가 대통령으로 적합하냐'는 응답에서 박 전 대표와 안 원장 다음으로는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지지율이 7.1%로 3위를 기록했고 이회창 4.6%, 김문수 2.5%, 손학규 2.5%, 정몽준 2.0%, 유시민 2.0%, 정동영 1.9% 등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이외 대선후보로 거론되는 인물들은 0%대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다만 무응답이나 모른다는 응답도 20.9%에 달해 상당수 국민들은 여전히 차기 대통령을 놓고 누가 적합한지에 대해 결정을 유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통령선거에서 지지할 정당은 야권 통합정당의 후보가 32.5%의 지지를 기록, 정권교체의 가능성을 키웠다. 한나라당 후보는 24.4%의 지지율을 나타냈다. 하지만 결과는 언제든지 뒤집어질 가능성이 농후했다. 예컨대 '어느 정당에도 소속되지 않는 후보'가 22.8%에 이르렀고 모름∙무응답도 20.3%나 됐다. 두 항목을 합칠 경우 국민의 10명 중 4명(43.1%)이 기존 정당에 대한 불신을 갖고 있거나 마음을 정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20대의 40.2%가 무소속 후보를 지원하거나 20.2%가 모른다고 답했는데 20대의 10명 중 6명이 기존 정당에 대한 불신을 표하고 있는 셈이다. 또 어느 정당에도 소속되지 않는 후보에 대한 지지율은 연령이 낮고 전문대 재학 이상(26.1%), 학생(42.7%), 연평균 가구소득 5,000만원 이상(52.2%), 인천∙경기거주(31.8) 등에서 높게 나왔다. 이와 함께 한나라당 후보와 야권통합 후보에 대한 지지도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한나라당 후보는 ▦연령이 높을수록(45.1%) ▦고졸 이하(31.5%) ▦주부(30.6%) ▦연평균 가구소득 1,000만원 미만(45.1%) ▦대구∙경북 거주(41.0%) 등에서 지지율이 높았다. 반면 야권 통합후보 지지율은 ▦남자(34.1%) ▦전문대 재학 이상(38.4%) ▦사무∙관리∙전문직(42.6%) ▦광주∙전북∙전남거주(55.7%)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원하는 차기 대통령상으로는 '갈등을 해소하고 통합할 사람'을 우선으로 꼽았다. 응답자의 44.1%는 '갈등을 해소하고 통합할 사람'을 지지했는데 이는 대통령이나 정치권이 사회를 통합하기보다는 갈등을 유발하고 정치적 목적으로 계층이나 지역 간 대결구도를 여전히 만들고 있다고 느끼는 국민들의 많다는 얘기다. 그 다음으로는 '경제성장을 이룰 사람'을 차기 대통령상으로 꼽는 비율이 38.8%에 달했는데 이명박 대통령이 747(7% 경제성장,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 세계 7위의 경제대국)을 공약으로 들고 나오면서 경제대통령에 대한 기대감이 높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했다는 실망감도 함께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함께 '복지정책을 펼칠 사람'에 대한 지지가 15.2%를 나타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