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연구진이 암 세포의 성장을 늦추는 원리를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강창율 서울대 약학대학 교수 연구팀이 암 환경에서의 ‘자연 살해 세포’ 감소 기전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자연 살해 세포는 암의 성장을 늦추는 생체 내 중요한 방어기제 중 하나다. 이 세포의 기능과 수가 유지될 때 항암 치료를 받은 암 환자의 증상이 개선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 교수 연구팀은 암이 진행됨에 따라 자연 살해 세포는 줄어드는 반면 미분화 골수성 세포는 급격하게 늘어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후 실험을 통해 암에 걸린 쥐의 경우 자연 살해 세포가 감소하며 이는 자연 살해 세포가 미분화 골수성 세포로 변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미분화 골수성 세포는 암이나 감염 등의 질병 상황에서 축적되는 세포다. 연구팀은 또 자연 살해 세포를 활성화하는 체내 단백질의 일종인 IL-2가 자연 살해 세포의 미분화 골수성 세포로의 변화를 막아 암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강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IL-2의 새로운 항암 기능을 확인했다”며 “항암치료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 암학회가 발간하는 캔서 리서치(Cancer Research)지의 온라인판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