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사진) 금융위원장은 17일 창원과 구미국가산업단지에서 중소ㆍ중견기업 대표들로부터 수출ㆍ투자금융애로 사례를 듣고 이같이 밝혔다.
중소기업들이 글로벌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금융권이 보다 적극적으로 자금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한 것이다.
김 위원장은 “일시적인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이 보다 활발하게 수출과 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금융권이 지원해야 한다”며 “어려울 때 친구가 진정한 친구로 조선ㆍ기계 등 경기사이클 상 불황을 겪고 있는 기업들의 우산을 뺐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최근 경기침체로 인한 부실을 우려해 중소ㆍ중견기업의 설비투자와 운영자금 대출을 축소하고 있는 금융권에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이어서 향후 변화가 주목된다.
김 위원장은 이를 위해 금융권이 과거 기록으로 기업의 신용등급을 평가하는 관행도 바뀌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위원장은 “과거 재무제표를 중심으로 기업을 평가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신용등급 이외에 기술력 등 미래 성장성을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평가방법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정국 기술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은 이에 대해 “현재 우수 기술개발 평가인증을 토대로 한 대출상품을 시중은행들과 개발하고 있다”며 “조만간 출시될 예정이니 잘 활용해 달라”고 소개했다.
수출입은행, 정책금융공사, 무역보험공사의 기관장들은 지방 중소기업들이 잘 모르고 있는다양한 정책자금을 소개하는 등 ‘영업’을 펼쳤다.
김용환 수출입은행장은 한 LED 제품 생산기업 대표가 설비투자 자금난을 호소하자 “수은은 LED 등 녹색산업을 지원하기 위한 녹색금융을 운영하고 있는 데 시중은행 금리 보다 낮은 편이니 꼭 활용해 달라”고 당부했다. 안택수 신용보증기금 이사장은 신보와 기보에서 중복지원을 받을 수 없다는 한 기업인의 애로사항에 대해 “지난 6월부터 기보와 협약을 체결해 한 기관이 다른 기관의 보증을 모두 인수할 수 있게 됐다”며 “제도가 시행된 지 얼마 안돼 잘 모르시는 것 같으니 지점 직원에게 꼭 상담을 다시 받아보시라”고 답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