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는 26일(현지시간) 자사 블로그를 통해 “오늘부터 특정 국가에서 사용자의 콘텐츠를 대응적 차원에서 차단하는 권리를 사용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런 능력을 그동안 사용하지 않았다”는 트위터는 “만약 특정 국가에서 ‘트윗’을 차단해야 하는 요구를 받는 경우, 해당 이용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도록 시도하고 그 내용이 차단됐음을 분명히 표시하겠다”고 밝혔다.
트위터는 “국제적으로 성장하면서 표현의 자유에 대해 다른 구분 선을 가진 국가에도 진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트위터는 “그중에는 관점이 너무 달라서 우리가 자리 잡을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나치 찬양 내용을 차단하는 프랑스나 독일에서처럼 역사적 또는 문화적 이유로 특정 콘텐츠를 제한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트위터의 이번 입장 표명은 지난해 1월 ‘아랍의 봄’ 운동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보였던 것과는 달라진 것이다.
당시 트위터는 “트윗은 이어져야 한다”며 “내용 때문에 트윗을 없애지 않는다”고 밝혔었다. 튀니지와 이집트는 물론 다른 아랍 국가들을 휩쓴 사회운동 ‘아랍의 봄’이 진행될 때 트위터는 각국 국민의 의견을 실어나르며 강력한 잠재력을 보인 바 있다.
구글과 페이스북 같은 대형 인터넷 기업들도 세계 시장에 빠르게 진출하는 과정에서 일부 국가와 표현의 자유 또는 사생활 보호 문제와 관련해 마찰을 빚었다. 지난 2010년 구글은 중국 정부의 검열 요구를 거부하는 등 중국 측과 공개적 마찰을 빚은 뒤 웹 검색 업무를 홍콩으로 이전하기도 했다. 또 중국은 트위터를 차단하는 대표적인 국가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