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금융계에 따르면 하나금융은 오는 18일로 예정된 이사회에서 외환캐피탈의 업종 전환 안건을 상정, 처리할 계획이다.
현행 지주회사법은 금융지주의 자회사(외환은행)가 신용정보사ㆍ여신전문사ㆍ투자자문사 등을 지배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다만 새롭게 자회사로 편입된 경우 유예 기간은 2년인데, 이에 따라 하나금융은 2014년 2월까지 외환캐피탈을 지주 자회사로 전환하거나 또 다른 법적 지위의 자회사로 변경해야 한다.
하나금융의 한 관계자는 "합병부터 매각ㆍ청산까지 여러 방안을 검토했지만 업종을 바꿔 지주사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는 게 최선이라는 결론을 얻었다"고 말했다.
하나금융의 이 같은 결정은 외환은행 노조의 반발을 무마하고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른 NPL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최선의 방안으로 평가받는다. 외환캐피탈의 정규 인력은 약 30명 수준으로 업종 전환에 따른 인력 재배치 규모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반해 장기 저금리 기조로 수익성 악화의 기로에 선 금융산업에 NPL 시장은 '황금 알을 낳는 거위'로 인식된다. 조선ㆍ해운ㆍ건설업종 등이 부실화하면서 신규 NPL은 크게 늘고 있지만 이를 소화해줄 곳은 많지 않기 때문이다.
국내 NPL 시장은 유암코(50%), 우리F&I(30%) 등의 과점 구도로 형성돼 있는데 공교롭게도 두 회사는 인수합병(M&A) 대상이다. 우리F&I는 현재 매각 절차가 진행되고 있으며 은행법상 자회사 분류 규정에서 벗어나야 하는 유암코는 내년 10월까지 지분 매각이 불가피하다.
시장질서 재편이 예견된 상황에서 NPL 투자회사를 설립해 시장 확대를 꾀하겠다는 것이 하나금융의 복안이다. 우리F&I의 경우 20여곳이 넘는 국내외 기관이 적극적인 인수 의사를 표명할 정도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한 금융계 관계자는 "우리F&I가 지난해 벌어들인 순이익만 약 460억원으로 NPL 시장은 얼마 남지 않은 기회의 땅"이라며 "더욱이 금융지주사 중 유일하게 NPL 투자회사를 보유한 우리금융이 공중분해되면서 NPL 시장이 더욱 조명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