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중부발전은 지난 4월23일 '보령화력 1호기 성능복구공사 추진계획'을 이사회에 보고했다.
안에 따르면 화재에 따라 전기ㆍ제어설비, 보일러, 터빈, 발전기 및 부속설비 등을 교체하거나 수리해야 하며 공사비만 무려 591억5,000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업기간은 3월부터 오는 7월까지 4개월로 잡혔다.
지경부의 관계자는 "생각보다 불에 훼손된 케이블이 많았고 불에 그을린 전자장비 등은 안전을 위해 모두 교체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했다"며 "이 때문에 복구비가 수백억원에 달하게 됐다"고 말했다.
막대한 보수비가 들어가게 되면서 중부발전은 우선 217억9,000만원의 투자자산을 전용해 사용하기로 했다. 나머지는 사업예산 절감 등으로 메운다고 중부발전 측은 설명했다.
그러나 보험금을 받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보령화력발전소는 동부화재 등에 보험이 가입돼 있다. 중부발전 관계자는 "(보험금을 지급받는 데)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남인석 중부발전 사장도 지난달 23일 사의를 밝혔다. 사고 규모가 생각보다 큰데다 뒤이어 터진 보령 5호기 인명사고 등에 부담을 느꼈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으로 중부발전의 보험료가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설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국민이 주인인 공공기관의 비용만 늘어나게 되는 셈이다. 보험업계의 한 관계자는 "사고 금액이 크기 때문에 보험금 지급 이후 보험료율이 크게 오를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