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마트가 국내 유통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중국내 100호점을 냈다. 롯데마트는 18일 중국 장쑤(江蘇)성 난퉁(南通) 시의 줌심가 교차로에 룽왕차오(龍王橋)점을 오픈했다. 11층과 30층짜리 2개동의 주상복합건물의 개발에 직접 참여하는 형태로 출점한 룽왕차오점은 지하1층~지상4층에 1만8,160㎡의 면적을 갖추고 있다. (사진)
이에 따라 롯데마트는 중국 100개점, 인도네시아 30개점, 베트남 2개점 등으로 해외에만 모두 132개 점포망을 보유하게 됐다. 국내 97개 매장까지 합치면 4개국에서 229개 매장을 운영하게 된다. 점포수로는 중국이 국내를 앞지르게 된 것이다.
롯데마트는 2007년 12월 중국 마크로를 인수해 중국시장에 진출한 이후 중국에서 단기간에 규모의 경제를 갖추고 인지도를 제고하기 위해 자체 출점을 계속하면서 인수합병 방식을 병행하는 전략을 구사했다.
베이징, 상하이, 선양 지역 일대를 중심으로 다점포망을 구축하되 상대적으로 발전 가능성이 큰 중소도시를 거점으로 택한 것도 롯데마트의 전략이었다. 특히 이미 상권의 확대가 많이 진행돼 유통업체간 경쟁이 치열한 대도시보다 성장 가능성이 큰 3~5선의 중소도시에 점포를 내기로 하고 전체 점포 중 80%를 중소도시에서 출점했다.
아울러 현지화를 위해 모든 점포의 점장을 현지인으로 채용하고 한국 주재원은 최소화해 현지 고객의 성향이나 영업환경을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현지인들 중심으로 사업을 벌이고 있다고 롯데마트는 전했다.
이렇게 되면 롯데마트의 중국사업 매출 규모는 2008년 3,000억원 수준에서 올해는 2조원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점포를 기준으로 한 영업실적은 흑자를 기록중이지만 현재 신규출점 투자가 집중된 시기여서 당분간 손실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롯데마트측은 전했다.
롯데마트는 점포망 확대와 조직통합, 매뉴얼 확립 등 경영혁신 활동을 통해 2014년께는 신규출점 투자가 이어지더라도 전체 손익이 흑자로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롯데마트는 이런 실적을 바탕으로 현재 중국 유통업체중 15위권인 순위를 2015년까지는 RT마트, 월마트, 까르푸 등에 이은 5위권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