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사진) 기획재정부 차관 내정자는 9일 경제ㆍ금융 상황점검 회의를 마친 뒤 기자와 만나 “경제 상황이 좋지 않은 시점에서 재정부 차관을 맡게 돼 상당히 부담스럽다”고 운을 뗐다. 그는 이어 “시장의 흐름을 역행하지 않는 선에서 반드시 물가만은 잡겠다. 물가의 안정 여부가 앞으로 정책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며 “국제유가가 안정되면 금상첨화겠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서 여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물가안정에 정책포커스를 맞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과거 경제기획원시절 생활물가과장ㆍ물가정책과장 등 물가관리 부서를 섭렵한 ‘물가통’으로 꼽힌다. 김 차관 내정자는 전날 발표한 밀가루의 관세율 0% 적용과 정부 차원에서의 직접 수입확대 등의 방식을 예로 들면서 “시장의 흐름을 역행하는 일은 없을 것이지만 업계가 스스로 가격을 낮추지 않을 경우 정부가 생필품의 가격을 떨어뜨리기 위해 직접 나설 수밖에 없다”며 “밀가루처럼 관세를 낮추거나 정부의 직접수입을 늘릴 경우 시장과 가격안정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추진 중인 농수산물 등의 유통구조 개선에도 집중할 계획임을 강하게 내비쳤다. 그는 “유통구조 개선은 만만치 않은 숙제이지만 이를 바꿀 경우 소비자 가격은 안정될 것”이라면서 “여러 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급격한 침체양상을 보이고 있는 부동산시장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주의 깊게 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부동산 시장의 생리가 가격이 오르거나 내릴 경우 걷잡을 수 없이 진행된다”면서 “더 침체되기 전에 여러 상황을 다각도로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종합부동산세나 양도소득세 등의 조정 가능성에 대해서는 “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큰 게 세금”이라면서 “신중하게 접근할 수밖에 없다”면서 기존의 원론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시장에 미칠 긍정적인 효과는 물론 부작용까지 세밀하게 검토한 뒤 정책의 방향을 결정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강만수 장관이 자신의 생각과 반대되는 이야기도 많이 해달라고 당부했다”며 “여러 목소리가 전달될 수 있도록 많은 이야기를 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한쪽의 목소리가 많이 전달되면서 실제와는 달리 강 장관의 이미지가 강성으로 굳어져 있다는 말도 들었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