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4대 주력산업 중 하나인 플랜트의 해외 수주물량이 3ㆍ4분기에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화려한 부활의 신호를 보냈다. 플랜트는 상반기에 67%나 수주가 급감하면서 부진을 면치 못했다. 지식경제부는 14일 지난 3ㆍ4분기 해외 플랜트 수주액이 160억2,700만달러로 종전 최대치인 지난해 3ㆍ4분기(150억8,600만달러)보다 6.2% 늘었다고 밝혔다. 해외 플랜트 수주액은 2003년 64억달러에서 해마다 큰 폭으로 늘어왔고 지난해의 세계적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수주액이 462억달러로 전년보다 40억달러나 증가했다. 올 상반기까지는 부진을 면치 못했지만 유가상승, 세계경기 회복 움직임 등이 나타나면서 수주가 빠른 속도로 회복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역시 중동의 회복세가 두드러진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쿠웨이트ㆍ아랍에미리트(UAE) 등을 중심으로 대형 석유, 가스시설 및 발전 프로젝트를 연이어 수주하면서 중동 지역의 수주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나 늘어난 118억5,800만달러에 달했다. 지난해 수주액이 적었던 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 역시 각각 10억6,900만달러, 26억7,300만달러의 수주를 기록했다. 대형 석유ㆍ가스 프로젝트 수주가 두드러졌다. 39억달러 규모의 UAE의 가스전 프로젝트를 현대중공업과 현대건설ㆍGS건설이 수주한 것을 비롯해 삼성엔지니어링의 알제리 스키다 정유 플랜트(26억달러), 대림산업과 SK건설ㆍ삼성엔지니어링의 사우디 주베일 정유 프로젝트(24억달러) 등이 대표적이다. 발전 분야에서도 한국전력이 사우디 라빅 중유화력발전소 프로젝트(25억달러)를 수주하는 등 수주액이 50억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경기침체로 드릴십, 부유식원유저장설비(FPSO) 등 해양플랜트 발주가 지연되면서 이들 품목을 주로 발주하는 유럽과 미주 지역의 수주액은 각각 4,300만달러, 3억8,4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0% 이상 급감했다. 지경부는 "4ㆍ4분기에도 대규모 프로젝트 입찰이 계속 진행될 예정이어서 수주액이 상승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