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대한탁약주제조중앙회는 “막걸리 시장 감소는 소비자 선호도 변화가 가장 큰 원인으로 적합업종 지정과 무관하다”며 “적합업종으로 대기업과 상생협력 강화 등 긍정적인 효과가 더 크다”고 밝혔다.
탁약주중앙회에 따르면 막걸리 시장은 2009년 33만6,000㎘, 2010년 41만2,000㎘, 2011년 45만8,000㎘, 2012년 44만8,000㎘, 2013년 37만8,000㎘규모로, 지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성장세를 기록했지만 지난해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에 대해 탁약주중앙회는 “당시 막걸리 수요 증가는 웰빙열풍 및 한국식품연구원의 항암물질 효과주 발표, 정부의 쌀 촉진정책에 의한 쌀 저가공급, 한류에 의한 일본수출 확대에 기인한 것”이라며 “이후 소비자들의 기호가 막걸리에서 와인, 맥주, 소주로 옮겨간 게 시장이 줄어든 원인 ”이라고 설명했다.
또 상위업체를 제외하고 대다수 중소기업이 고사 직전이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탁약주중앙회는 막걸리 효모특성상, 지역별로 특색있는 제조방식을 가지고 여러 중소막걸리 업체가 합동으로 제조하는 방식”이라며 “2013년기준 전국 873개 업체가 등록돼 있고, 탁약주중앙회에 가입된 제조장만 500여개다”고 말했다. 이어 “대도시 제조장들은 50~70개의 제조면허자들이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하나의 브랜드(서울 ‘장수’, 부산 ‘생탁’)로 업체를 만들어 공동운영하는 방식”이라고 덧붙였다.
탁약주중앙회는 적합업종 합의로 중소기업과 대기업은 서로 윈윈하는 상생협력관계를 구축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탁약주중앙회는 “유통망이 열악한 서울탁주를 비롯한 대도시, 포천일동막걸리 등이 대기업의 해외 유통망을 활용해 살균탁주를 해외로 수출하고, 대기업은 내수를 자제하기로 상생협약을 체결했다”며 “2012년에는 농협 한삼인과 서울장수(주)가 홍삼막걸리 생산을 위한 MOU을 체결했으며, 롯데칠성음료와는 2009년부터 일본 막걸리 시장 진출부터 최근 중국 등 14개국에까지 수출중이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