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이 한국의 조기 금리 인상 필요성을 언급하고 선진국인 캐나다가 금리 인상 대열에 동참할 조짐을 보이면서 한국의 출구전략에 대한 대외적인 압력이 고조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민간 자생력 회복'을 금리 인상 조건으로 내걸었지만 대외적인 인상 압력이 거세지고 있는 상황에서 인상 시기를 마냥 늦출 수만은 없는 여건이 형성되고 있는 셈이다. ◇IMF의 거듭된 조기 인상론=수비르 랄 IMF 한국과장은 23일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가까운 시일 내에 금리를 점진적으로 인상해도 경기회복세에 지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랄 과장은 "한국 경제는 현재 회복이 잘 진행되고 있다"면서 "이제는 확장적인 거시정책의 철수 시기와 속도에 대해 고려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또 완만한 금리 인상이 한국 경제성장에 해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성장세가 강하고 전반적인 경기둔화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가까운 시일 내에 금리를 점진적으로 정상화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금리를 점진적으로 올린다고 해도 회복세를 지원하는 수준, 즉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그대로 유지하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고도 분석했다. 랄 과장은 하반기에 경기회복세가 다소 둔화될 것으로 보고 있으나 민간 부문의 자생력이 살아나고 있다고 밝혀 김 총재가 내세웠던 '민간 자생력 회복'의 조건이 무르익고 있음을 내비쳤다. 이에 앞서 지난 2일 방한한 존 립스키 IMF 수석부총재도 한국이 비교적 가까운 시기에 통화정책을 점진적으로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시아에 이어 선진국들까지 인상 준비=캐나다 중앙은행은 23일 주요7개국(G7) 가운데 가장 먼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임을 강하게 시사하는 보고서를 냈다. 통화정책보고서는 "최근의 경기 상황을 감안할 때 부양 강도를 낮추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2ㆍ4분기까지 기준금리를 0.25% 유지할 것임을 더 이상 약속하지 못한다"고 밝혔다. 캐나다 중앙은행의 차기 정책결정회의는 오는 6월1일로 예정돼 있어 이때 금리를 인상한다면 6월 26ㆍ27일 캐나다 토론토에 모일 주요20개국(G20) 정상들의 출구전략 공조 다짐은 그 의미가 퇴색될 수밖에 없다. 특히 호주와 인도의 중앙은행이 두 달 연속 기준금리를 인상한 데 이어 캐나다까지 금리 인상 대열에 합류할 경우 우리 중앙은행도 생각을 달리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김 총재가 금리 인상의 전제조건으로 '민간의 자생력 회복'과 '국제 공조'를 언급했지만 성장 속도가 빨라지고 해외 국가들의 금리 인상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상황에서 의외로 금리 인상 시기를 앞당길 수도 있다는 얘기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