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주택銀 파업] 다른 은행 파업확산은 없을듯
입력2000-12-27 00:00:00
수정
2000.12.27 00:00:00
[국민·주택銀 파업] 다른 은행 파업확산은 없을듯
"명분-동력 부족" 소극적 자세
금융노조가 추진하고 있는 28일 금융총파업에 국민ㆍ주택은행을 제외한 다른 은행들이 거의 참여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 은행 파업은 더 이상 확산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국민ㆍ주택은행 노조원들은 27일 오전 공권력에 의해 강제 해산된 뒤에도 업무에 복귀하지 않고 파업 투쟁을 계속하기로 해 두 은행의 파업으로 인한 금융 혼란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정부와 은행 경영진은 28일까지 복귀하는 노조원들은 불이익이 없다며 개별적으로 업무에 복귀하라고 설득하고 있으나 당분간 영업점으로 돌아갈 직원들은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이번 사태 해결을 위해 정부와 은행 경영진, 노조의 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은행 파업, 다른 은행으로 확산되지 않을 듯
금융노조의 28일 총파업 방침에 따라 이날 일부 은행들이 찬반 투표를 열었으나 파업에 들어가겠다고 밝힌 은행은 없었다.
조흥, 평화은행 등은 찬반투표를 열었지만 결과를 밝히지 않아 '찬성율이 낮은 것 아니냐'는 추측을 낳았다. 서울, 외환은행 관계자도 "국민ㆍ주택은행 상황을 봐가며 오후 늦게 찬반투표 실시를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혀 투표를 할 뜻이 없음을 시사했다.
대부분의 은행이 파업에 대해서는 부정적이다. 신한, 하나, 한미 등 우량은행들은 오래전부터 "결코 파업은 없다"라고 선언했다.
공적자금을 받은 은행들도 마찬가지다. 파업에 들어갈 경우 예정된 공적자금을 받기 어려운데다 이미지 추락과 예금 인출 등으로 부실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 파업에 들어가면 공멸이 뻔한 상황에서 노조도 강하게 파업을 이끌기 어려운 상황이다.
외환은행 노조의 한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파업에 참여할 명분과 동력이 부족하다"며 "투표 결과나 금융노조의 방침과 상관없이 파업에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경남, 광주 등 국민ㆍ주택과 함께 파업 의사를 밝혔던 지방은행들도 "지난번 총파업 결의는 여전히 살아 있다"면서도 "파업을 철회해 놓고 다시 파업에 들어가기는 사실상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일부 은행들은 국민ㆍ주택은행 노조를 위해 사복출근 등 형식적인 파업의 모양새는 갖출 방침이다.
◇국민ㆍ주택은행 파업은 장기화될 듯
다른 은행들의 소극적인 자세와는 달리 국민ㆍ주택은행 노조원들의 자세는 강경하다. 정부와 두 은행장이 합병을 취소하지 않는 이상 결코 파업을 철회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두 은행 파업으로 인한 금융혼란은 연말을 넘어 장기화될 전망이다.
국민은행 노조의 한 관계자는 "28일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불이익이 있다고 하는데 그 말에 흔들릴 노조원은 거의 없다"며 "합병 취소때까지 파업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1만2,000여명에 달하는 노조원들은 6박7일의 농성기간 동안 생사고락을 같이 하며 단결력이 강화돼 당장 분열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해고의 위험성을 안고 있는 계약직 직원들조차 노조가 "끝까지 지킬 것"이라는 자세여서 쉽사리 복귀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두 은행 노조는 이날 강제 해산된 뒤 일부는 집으로 돌아가거나 분회별로 따로 모임을 가졌다. 노조는 28일부터 제3의 장소에서 농성을 계속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택은행 노조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 분회별로 영업점에 출근하지 않고 파업을 계속하는 방안과 서울 시내에서 새로 모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서울 시내에서 모이는 방안이 유력하지만 장소, 시간 등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다만 1만2,000여명이 모일 장소가 마땅치 않고 명동성당도 현재 어려운 상황이라는 것이 집행부의 고민이다.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전산망 마비에 대한 공포도 점점 커지고 있다. 국민ㆍ주택은행의 상당수 전산실 직원들이 26일 출근하지 않은데 이어 이들은 일산연수원 강제해산에 앞서 27일 여주 노총연수원에 모여 농성을 계속하고 있다. 이들을 해산시키려면 또다시 공권력을 투입해야 하지만 쉽지 않은 실정이다.
국민ㆍ주택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이들의 대화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서로 물러설 곳이 없는데다 양측의 '신뢰'가 붕괴해 협상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정부가 이때 리더십을 밝히 해 극적인 타결을 이끌어 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연기자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