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저축은행중앙회와 신협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저축은행 업계의 대출잔액은 약 31조8,789억원으로 32조1,433억원에 달한 신협보다 약 2,644억원 적었다.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만 해도 저축은행 업계의 대출잔액은 33조7,153억원으로 신협(31조8,558억원)보다 많았다. 하지만 불과 1달 사이에 신협보다도 덩치가 작아진 셈이다.
한때 저축은행은 서민금융기관 중에서 농업협동조합을 빼고 대출에 있어서는 '왕'이었다. 새마을금고나 신협ㆍ산림조합 등은 비교 대상조차 되지 않았다. 한은 자료를 보면 신협은 2010면 말 대출잔액이 약 27조원으로 저축은행(약 64조원)의 반도 안 됐다. 새마을금고(약 45조원)도 명함을 못 내밀었다.
그러나 잇단 영업정지로 저축은행의 몸집은 크게 줄었다. 2011년 삼화저축은행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문을 닫은 저축은행만 24개에 달한다. 비과세 혜택 때문에 저축은행이 수신이 신협이나 새마을금고에 뒤진 지도 이미 오래다.
전문가들은 저축은행이 신협보다도 작아진 만큼 저축은행 산업의 틀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지금처럼 문제 있는 저축은행을 예금보험공사에 떠넘기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특히 저축은행의 건전성 규제가 은행 수준으로 올라와 있는 상황이어서 저축은행업을 계속 둘지도 고민해야 한다는 비판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지방의 소규모 저축은행은 지금 형태로 놔두고 수도권의 큰 저축은행은 차라리 캐피털사로 전환시키자는 파격적인 주장도 내놓는다. 예보 밑의 저축은행은 팔릴 가능성이 사실상 적은 만큼 서민금융을 전담할 공적 은행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말도 있다. '제2의 국민은행'을 만드는 것이다. 금융감독 당국의 관계자는 "저축은행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