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단행된 개각은 예상대로 ‘코드+보은 인사’로 귀결됐다. 임기 말 노무현 대통령의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뒷받침하기 위한 인사라는 대의명분에도 불구하고 노 대통령과 그동안 가까웠던 인사나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던 인물들을 내각에 전진배치시킨 것이 인사 곳곳에 배어 있다. ◇보은인사 하면서 인사 폭 커져=당초 청와대 안팎에서는 개각이 오는 9월쯤 이뤄질 것으로 예상됐었다. 하지만 한달가량 앞당겨졌고 인사의 폭도 커졌다. 일부에서는 28일 열릴 예정인 남북정상회담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이번 개각에 포함된 인사들이 정상회담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회담에 앞서 개각을 매듭지음으로써 내각에 안정을 기하려 하지 않았느냐는 것이다. 어떤 배경에서든 이번 인사에서 드러난 가장 큰 특징은 보은인사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결정적인 공헌을 했던 두 주역인 김종훈 통상교섭본부 내정자와 김현종 주 유엔대사 내정자를 발탁한 것이 대표적 예다. 여기에 경제정책수석을 지내면서 한미 FTA 등 각종 경제현안을 성실하게 보좌해온 윤대희 수석을 장관급으로 영전시킨 것도 배려 차원이다. 앞서 김용덕 경제보좌관을 금융감독위원장으로 승진시킨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다만 윤 수석을 정보통신부나 농림부 장관에 앉히지 않고 국무조정실장으로 기용한 것은 한덕수 총리를 보좌하면서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도모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법무부 장관에 기용된 정성진 국가청렴위원장의 후임에 노 대통령과 사시 17회 동기인 이종백 전 서울고검장을 발탁한 것은 코드인사의 전형이지만 청와대의 해묵은 인사 관행이어서 더 이상 비판의 대상이 되기 힘든 게 현실이다. ◇10월께 추가 개각 가능성=일부에서는 이번 개각이 참여정부에서 행하는 사실상 마지막 개각이라는 관측이 나오지만 한 차례 더 소폭의 부분개각이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총선 출마를 위해 물러날 인물들이 적지않기 때문이다. 당장 청와대에서는 박남춘 인사수석과 윤승용 홍보수석 등이 총선에 출마할 예정이어서 시기의 문제일 뿐 교체는 예정돼 있다. 내각에서도 이상수 노동부 장관을 비롯한 일부 인사들의 총선 출마 가능성이 높다. 이들의 교체시기를 언제로 잡느냐가 문제인데 이르면 10월에 이뤄질 공산이 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