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한 임광토건이 올 초 3년 만기로 발행한 상환우선주를 불과 다섯 달 만에 갚으면서 상환 명분으로 1,000억원 가까운 돈을 계열사로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임광토건은 이 과정에서 채권단과 협의를 전혀 거치지 않았으며 이후 두 달 만에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채권단은 "우선주 상환대금이 계열사로 흘러간 정황을 볼 때 회사 측이 법정관리 이전에 계열사로 돈을 빼돌린 것 아니냐"며 반발하고 있다. 18일 금융계에 따르면 임광토건은 지난 3월 재무구조 개선 목적으로 운영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상환우선주 60만주를 발행하는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상환우선주는 한 주당 19만6,000원씩 발행돼 모두 1,176억원의 신규자금이 유입됐다. 당시 증자에는 계열사인 임광개발과 동신건설산업, 임광수 명예회장이 참여했고 3년 후 상환 조건이었다. 임광토건은 그러나 8월 말 두 차례에 걸쳐 60만주 가운데 47만408주를 갚았다. 발행가액 기준으로 하면 921억원 규모다. 상환우선주에 배당금을 붙여 갚는 '이익소각'을 했기 때문에 약 1,000억원의 자금을 계열사에 넘긴 것으로 추정된다. 임광토건은 이렇게 3년 후 상환하기로 한 우선주를 5개월 만에 갚고 2개월 뒤에는 전격적으로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일련의 과정에서 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상환을 놓고 임광토건과 협상을 진행했던 채권은행들은 배제됐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관련 사실조차 몰랐다"고 말했다. 임광토건은 7월에 사옥을 매각(1,500억원)한 뒤 이 자금을 우선주 조기상환에 사용한 것으로 채권단은 보고 있다. 임광토건의 금융권 채무액은 10월 말 현재 9,220억원에 달한다. 채권은행의 한 관계자는 "임광토건이 6월 은행들의 정기신용위험평가를 앞두고 계열사 유상증자를 단행해 등급 하락에 따른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 지정을 피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워크아웃을 피한 뒤 법정관리를 신청하려 미리 마음먹었던 것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한 뒤 "PF 상환은 하지 않은 채 계열사로 자금을 빼돌린 구조"라고 지적했다. 채권은행들은 주 채권은행인 농협을 중심으로 향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채권단은 이 같은 의혹이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임광토건의 법정관리인으로 현 경영진이 유력한 데 대해서도 반발하고 있다. 고양이에게 생선을 주는 형국이라는 얘기다. 법원은 아직 관리인 선임 여부를 확정하지 않았으나 임 명예회장의 장남인 임재원 사장과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이낙영 사장이 경영인으로 거론되고 있다. 이에 채권은행들은 법정관리인으로 현 경영진이 선임될 경우 해당 재판부에 진정서를 제출할 방침이다. 이의신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임광토건에 자금관리단을 파견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현 경영진이 관리인으로 선임되면 또다시 끌려다닐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재판부에 자금흐름의 투명성을 보장하는 관리인 선임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