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광웅 국방부 장관에 이어 참여정부 대북 정책의 ‘아이콘’으로 불렸던 이종석 통일부 장관까지 자리를 물러남에 따라 외교 안보라인의 재편은 물론 남북 관계 등 대북 정책 전반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대북 포용 정책의 변화 신호탄이라는 해석도 나오는 상황이다. 아울러 외교 안보 정책의 중심 이동도 자연스럽게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대북 포용 정책 변화 신호탄(?)=이 장관은 25일 가진 기자회견에서 사의 배경에 대해 “북한 핵실험을 계기로 한반도 평화와 남북화해를 위한 노력과 성과들이 무차별적으로 도마 위에 오르고 정쟁화되는 상황”을 지목했다. 그의 말대로 외교 안보라인의 쇄신에는 북핵 실험을 계기로 대북정책의 성패가 도마에 오르고 대책을 둘러싸고 국론이 보수ㆍ진보로 나뉘어 정쟁화하는 양상을 매듭지어야 한다는 통치권 차원의 결단이 작용했다. 핵실험 후 대량 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참여 등 대응 방향을 놓고 부처별로 다른 목소리를 내 혼선이 확대됐다는 비판도 한몫을 했다. 이 같은 책임론이 정부 외교안보정책의 기조변화로 연결될지도 관심이다. 이 장관은 이날 “포용정책의 기조는 변화하지 않으며 노 대통령도 이 점에 대해 확고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외교 라인의 교체에도 당장에 (포용 정책의 포기 등) 큰 폭의 기조 변화가 나타날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부분 수정 가능성은 상존한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석이다. 포용 정책의 상징이었던 이 장관의 사퇴가 가져올 후폭풍이 적지않기 때문이다. 최근 북핵 실험을 계기로 국내외에 강경 기류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의 사퇴가 정부 내 분위기를 강경 쪽으로 기울게 할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외교라인, 투톱에서 원톱 체제로=외교 라인의 무게 중심도 바뀔 전망이다. 그동안의 외교 정책은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과 송민순 청와대 안보실장의 투톱 체제로 이뤄져왔다. 하지만 반 장관이 유엔 사무총장으로 가는 데 이어 이종석ㆍ윤광웅 장관까지 떠남에 따라 무게의 중심은 외교 장관으로 옮길게 확실시되는 송 실장의 원톱 체제로 급속하게 쏠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외교 라인 어떻게 구성되나=외교부 장관은 송 실장 쪽으로 기정 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송 실장의 후임은 후보로 거론됐던 윤 장관이나 이 장관이 “쉬고 싶다” “학교로 돌아가고 싶다”는 뜻을 강하게 밝힘에 따라 서주석 청와대 안보수석을 승진 기용하는 방안이 유력해 보인다. 제3의 인물이 기용될 가능성도 남아 있다. 관건은 통일부 장관인데 김하중 주중 대사와 이봉조 통일부 전 차관, 신언상 현 차관 등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포용 정책의 영속성을 위해 배기선 열린우리당 의원 등 당 출신의 중량감 있는 인사가 올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후임 국방부 장관으로는 안광찬 현 비상기획위원장을 비롯, 김장수 육군참모총장, 김종환 전 합참의장, 권진호 전 대통령비서실 국가안보보좌관 등이 거론되는 가운데 유재건ㆍ장영달 의원 등 문민 출신 장관의 발탁 가능성은 희박해지는 분위기다. 국정원장까지 교체될 경우 김만복 국정원 1차장의 승진 발탁 가능성과 제3의 인물을 기용할 가능성이 양립해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