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월 도래하는 2,800억원 규모의 회사채 차환 발행을 위해 정부의 회사채 신속인수제에 참여한 A그룹은 시장에서 동양그룹과 여러모로 비교된다. 업황 악화로 지난 2ㆍ4분기 흑자전환할 때까지 2년6개월 동안 수천억원의 영업적자가 누적된 이 그룹은 총 차입금이 6조원에 달하지만 이 중 은행권 여신은 2,500억원(약 4%) 수준에 불과하다. A그룹은 2010년 주채권은행과의 재무구조개선약정을 거부했고 2011년 4월 이후 올해까지 3년 연속 주채무계열에서 제외됐다. 물론 7,000억원에 가까운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고 있고 보유자산도 많아 동양과 단순비교하기는 무리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그러나 최근 3년간 유상증자와 회사채 발행 등 시장성 차입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과정에서 감독당국과 은행의 관리감독에서 벗어나 있었기 때문에 앞으로 언제든지 숨어 있던 부실이 밖으로 튀어나올 가능성이 있다.
주채권은행과 재무구조개선약정을 맺고 있지만 자산매각과 부채비율 축소 등 구조조정 작업이 더딘 기업들도 마찬가지다. 주채무계열에 포함된 B그룹과 C그룹은 각각 수년째 주채권은행과 맺은 재무구조개선약정을 갱신하고 있지만 구조조정 작업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감독당국의 한 관계자는 "기업들이 주채권은행과 재무구조개선약정을 맺고 자산매각 등 강도 높은 자구안을 내놓지만 실제 시장 상황 등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버티기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면서 "앞으로 부실이 더욱 확산되기 이전에 은행들이 자구노력 이행계획을 면밀히 평가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