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화케미칼이 사우디아라비아의 민간석유회사인 시프켐과 합작 설립한 인터내셔널폴리머스(IPC·사진)가 시범생산을 끝내고 2일 본격적인 상업생산에 들어갔다.
IPC의 한화케미칼과 시프켐이 25대75 비율로 총 8억달러를 투자해 지난 2011년 설립했다.
IPC의 큰 장점은 원가절감이다. 원료인 에틸렌의 재료로 원유를 정제해 만드는 나프타 대신 에탄가스를 이용하기 때문에 원가를 줄일 수 있다.
2월 기준 나프타 기반의 에틸렌 국제가는 톤당 950달러 수준인 데 반해 에탄가스 기반의 에틸렌 가격은 톤당 300달러 이하다.
IPC는 이를 바탕으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등을 합쳐 연간 20만톤을 생산한다.
IPC의 EVA 생산능력은 15만 톤으로 울산과 여수의 공장(16만 톤)을 합쳐 총 31만톤 규모다. 엑손모빌(26만톤)을 제치고 연간 40만톤을 생산하는 듀폰에 이어 세계 2위에 올라서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한화케미칼은 국내에서는 태양전지 필름과 접착제(핫멜트)를 비롯한 고부가가치 EVA에,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EVA등 범용 제품 생산에 집중하는 이원화 전략을 펼 계획이다.
김창범 한화케미칼 대표는 "다수의 글로벌 석유화학업체들이 산유국에 생산 거점을 확보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IPC의 상업생산으로 글로벌 업체들과 본격적인 경쟁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